• 스모그와의 전쟁, 기후변화에 주목하라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26075, 2017.04.27 17:48:28

  •  ‘에어포칼립스(Airpocalypse)’. 공기를 뜻하는 영어 ‘에어(Air)’와 파멸을 뜻하는 ‘아포칼립스(apocalypse)’를 합친 신조어다. 사람의 목숨을 위협하는 살인적인 중국의 대기오염을 빗댄 말이다. 스모그 속에 포함된 사람 머리카락의 30분의 1 정도의 미세먼지는 숨을 들이쉴 때 폐 깊숙한 곳으로 침투해서 건강한 사람들의 호흡기관과 면역체계를 파괴한다.

     작년 겨울 12월, 심각한 수준의 스모그가 베이징과 인근 지역에서 발생했다. 베이징 당국은 최고 등급인 적색경보를 발령하고 유치원과 학교를 휴교하도록 조치하는 한편 시민들에게는 실내에 머물 것을 권고했다. 중국정부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하고 석탄 소비량을 제한하는 등 대기오염 줄이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하지만 베이징의 스모그는 잦아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최근 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베이징의 심각한 스모그는 대부분 12월부터 2월까지 겨울에 빈번하게 발생한다. 난방용 석탄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증가하고 비가 적게 내려 대기로부터 오염물질을 씻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풍향 등 바람의 조건도 영향을 미친다. 보통 겨울에 베이징 상공에 부는 차고 건조한 바람은 동아시아 겨울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이 바람은 베이징으로부터 오염물질을 도시 바깥으로 밀어내는 구실을 한다(그림의 왼쪽). 하지만 불행하게도 스모그가 극심한 시기에는 이 바람이 약화되거나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2015년 겨울이 좋은 예다(그림의 오른쪽).

    캡처.JPG
     
     여기에 더해 대기 하층부가 지표면보다 더워지면서 오염물질의 확산을 가로막는 ‘대기 안정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대기 조건은 지표면 부근에서 인체에 치명적인 초미세먼지(PM2.5)의 농도를 급격하게 증가시킨다. 다시 말해서 스모그의 잦은 출현은 중국의 급격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증가한 오염물질 배출량만이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바람 조건의 변화에도 그 원인이 있다는 것이다. 
     
     1982~2015년 베이징에서 스모그 발생 빈도는 연평균 50.2일로 1948~1981년 연평균 45.5일에 비해 10%가량 증가했다. 여기에서 ‘극심한 스모그’는 PM2.5 농도가 150㎍/㎥을 초과하는 상태를 말한다. 아래의 그림은 2013년 1월과 2015년 12월의 베이징 스모그가 얼마나 위험한 상태였는지 보여주고 있다. 2013년 1월 PM2.5의 월평균 농도는 130㎍/㎥을 웃돌았으며 하루 최고농도는 500㎍/㎥를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영국 소재 연구기관 ‘카본 브리프(Carbon Brief)’에 따르면, 기후변화가 가속화하면서 21세기 후반에 ‘극심한 스모그’ 발생빈도는 50% 이상 증가하고 지속기간은 8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캡처1.JPG
     
     이번 연구 결과는 중국의 스모그, 다시 말해서 미세먼지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은 기후변화와의 연계 속에서 마련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지역 차원에서 미세먼지 배출량을 줄이려는 노력과 함께 글로벌한 차원의 온실가스 감축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 김수현 연구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1/172493/822/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81 2018.12.27
3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19 2018.11.29
3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59 2018.11.29
3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69 2018.10.24
3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67 2018.10.24
3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89 2018.09.18
3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316 2018.09.18
3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717 2018.08.02
3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23 2018.07.11
3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224 2018.06.12
3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143 2018.06.12
29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614 2018.05.15
2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978 2018.05.15
2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29 2018.04.24
2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382 2018.03.28
2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00 2018.03.28
2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81 2018.03.06
2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703 2018.03.05
2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731 2018.03.05
2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740 2018.02.13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