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행동연구소조회 수: 1606, 2023.09.12 14:29:50
-
베트남 메콩델타 지역 기후변화 대응 현황
굿피플인터내셔널, 서미진
○ 들어가며
메콩델타 벤째성(Ben Tre) 지역 정수센터를 대상으로 역삼투압(Reverse Osmosis: RO) 시스템을 설치하고 염수를 담수화하여 지역주민에게 안전한 식수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한 적이 있다. 이 프로젝트는 엘리뇨(El Nino)와 연계된 가뭄과 염수 침투로 피해를 입은 2016년부터 7년간 지속되었다. 이후 사업 대상 지역을 2020년 염수 피해 비상사태 지역으로 선포된 베트남 최남단 까마우성(Ca Mau)으로 변경하려 했으나 쉽지 않았다. 사유는 까마우성은 염수로 오염된 지표수를 담수화하지 않고 지하수 개발과 빗물 저장 탱크를 사용해 식수 및 생활용수를 얻고 있었다. 하지만 이 지역의 지하수는 석회질이 많았고, 이로 인해 방치된 우물에 오염 물질이 침투해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지반을 약화시키는 또 다른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메콩델타 지역 내 식수원 이용에는 물 부족과 수질 문제 등 어려움은 공통적이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와 그 대응 방법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글에서는 메콩델타 지역 내 기후변화 피해 현황과 대응책을 확인하고자 한다.
○ 베트남 메콩델타 지역
메콩 델타는 메콩강 하구 지역에 형성된 삼각주로 여러 나라에 걸쳐 있다. 그 중 베트남 남부 지역을 베트남 메콩 델타라고 한다. 베트남 메콩델타에는 중앙 직할시인 껀터(Can Tho)와 12개의 성이 속해 있고 40,519km2(km2)의 광대한 삼각형 평원으로 베트남 전체 면적 331,051km2의 12.24%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장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 중 하나이며 생태학적으로 4개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지역은 베트남 전체 쌀 생산량 중 50%, 새우 등 양식 수산물 생산량 중 65%, 과일 생산량 중 70%, 쌀 수출량 중 95%, 수출 수산물 생산량 중 60%, 베트남 농업 GDP의 1/3 비중을 차지한다(세계은행, 2022).
(사진 출처: 베트남 교통부 산하 교통전략개발연구소, 세계 은행)○ 기후변화가 메콩델타 지역에 미치는 영향베트남 농업부는 메콩델타 지역의 침식으로 인해 매년 약 500ha의 땅을 잃고 있다고 추정한다. 지속 불가능한 토지 및 물 관리 관행은 강과 운하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염수 침입은 주요 작물의 허용 기준치보다 4배 높은 리터당 4g으로 증가했고 지역 전체의 담수 부족 위기를 촉발하였다.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이 이러한 변화의 일부 원인이지만 상류 댐 개발, 모래와 지하수의 과도한 개발도 메콩델타 지역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홍수 범위 및 기간 증가, 우기 및 건기 강수량 변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범람, 염수 침입이 지역의 농업 및 어업 생산성 위기로 이어졌다. 베트남 메콩델타를 생태학적 특성에 따라 크게 4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구역의 특징과 기후 변화 영향 및 도전 과제와 해결을 정리하면 다음 표 <메콩델타 지역 구역별 특징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과 도전 과제>와 같다.메콩델타 지역 구역별 특징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과 도전 과제(출처: 농업농촌개발부)○ 기후변화 및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베트남 천연자연 및 환경부(MONRE;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가 작성한 메콩델타 지역 기후변화 및 해수면 상승시나리오에 따르면, RCP2) 4.5일 경우 해수면은 2050년 23cm, 2100년 55cm 상승하고. RCP 8.5에서 해수면은 2050년 28cm 상승, 2100년 77cm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RCP 시나리오에 따른 해수면 상승(출처: Vietnam’ Environmental Science and Development Institute)또한, 메콩델타 지역은 범람 및 홍수 위험이 매우 높다. 만약 해수면이 100cm 상승할 경우 47.29%가 평균 해수면 보다 낮아지며 범람 위험도 매우 높다. 이 중 가장 큰 위험 지역은 Ca Mau(79.62%)이다. 해수면 상승은 주요 하천 지류와 운하 시스템으로 염수가 침투하는 현상을 강화하여 물과 하층토의 염분화를 유발하고 자연 생태계의 특성을 변화시키며 일상생활, 농업 및 서비스를 위한 담수 공급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해수면 상승 50-100cm 메콩델타 지역 범람 %(출처: 베트남 환경과학개발원)○ 메콩델타 지역의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노력1) 2050 메콩델타종합계획(2021-2030: Mekong Delta Integrated Regional Plan for the period of 2021-2030 with a vision to 2050)베트남은 “자연의 법칙을 존중하고 폭력적 개입을 피한다(Respect the laws of nature, avoid violent interference in nature)” 는 원칙을 바탕으로 메콩델타 통합 지역 계획을 수립하고 기후변화적응 및 완화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과 해결안을 제시하였다.메콩델타 지역 기후변화 적응, 완화 방향 및 해결안(출처: 베트남 환경과학개발원)
2) World Bank 기후회복력 및 지속가능한 생계 프로젝트2016년부터 세계은행(World Bank)은 통합적 기후회복력 및 지속가능한 생계 프로젝트(Mekong Delta Integrated Climate Resilience and Sustainable Livelihoods Project)를 통해 메콩델타 지역 농부들의 기후 탄력적, 자원 효율적인 생활방식으로의 전환을 도모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활성화된 인프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물과 토지 관리에 대한 지역 협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상류 작물어류오리모델(Crop-Fish-Duck Model) 도입: 쌀농사 삼모작 및 홍수 제방에 의존하던 방식에서 새로운 작물, 생선, 오리를 기르는 방법을 도입하고 기술 및 재정적 지원함.● 하류 자연기반모델(Nature-Based Model) 도입: 맹그로브 숲을 새우, 조개, 달팽이 번식지로 활용하는 방법을 도입함. 자원 효율적인 생산 방식으로 이 새우는 유기농 기준을 충족하여 국제 시장에서 더 높은 가치를 받음.● 제방, 수문 등 규모 확대: 상류 델타 범람원(Upper Delta Floodplain)에 61km 낡은 제방 복구 및 홍수 관리를 위한 15개 수문을 건축함. 하류 델타 반도(Delta Peninsula)에 제방, 파도 차단기, 맹그로브 벨트가 개발되고 수문, 해수 순환 관리 및 잦은 만조를 제어하기 위한 운하 시스템을 설치함. 델타 하구(Delta Estuary)에 염수 관리를 위한 4개 강둑 및 수문을 건축함.메콩델타 지역 기후회복력 및 지속가능한 생계 프로젝트(사진 출처: World Bank (2022))○ 해외 델타 지역 기후변화대응 사례인도네시아 드막(Demak)은 한때 넓은 맹그로브 벨트로 덮여 있었지만, 현재 80% 이상이 사라졌으며 해안의 급속한 침식이 진행되었다. 1970년대 대규모 양식이 시작된 이후 맹그로브 벨트 파괴되었고 잘못된 관행과 염류화로 인해 양식 생산성은 낮았으며 농촌은 더욱 빈곤해졌다.인도네시아 델타 지역 드막 위치(출처: 구글 맵)네덜란드 NGO인 Wetlands International는 인도네시아 정부 및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2013년 드막의 마을 Timbulsloko에서 소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Building with Nature(이하 BwN) 접근법을 시범 운영하고 이를 통해 맹그로브 그린벨트를 복원했다. 또한, 해안지역 학교(Costal Field Schools)를 설립하여 지역주민 대상으로 생계개선을 위한 실질적 교육을 제공했다.● BwN 접근법: 퇴적분지를 형성하기 위해 투과성 구조물(Permeable structures)을 설계함. 이 구조물은 파도를 감쇠시키고 맹그로브가 정착할 수 있도록 구조물 뒤에 새로운 퇴적물이 축적될 수 있어야 하며 구조물은 대나무와 같은 비교적 저렴한 천연 재료로 만들어짐. 구조물은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설계되었으며 현지 재료와 수작업을 사용하여 쉽게 설계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함. 투과성 구조물은 침식으로 인해 손실된 땅을 점진적으로 매립하며 이 곳에 맹그로브 숲이 조성이 된 후 새로운 구조물을 바다 더 멀리 세워 침식된 해안을 복원할 수 있음.퇴적분지 형성 및 맹그로브 복원(사진 출처: Wetlands International)○ 마치며메콩델타 지역의 기후변화대응 수단을 연구하면서 기존 쌀농사 삼모작에서 담수, 염수, 기수에 따라 농업 방식을 변경하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인상적이었으며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을 고려하여 농업에만 치우치기보다 생계수단을 다양화 할 수 있도록 교육 지원이 필요다고 생각한다. Mekong Delta Integrated Regional Plan을 살펴보면서 메콩델타 지역은 경제적, 자연적, 기후적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기후변화대응을 위해서는 정부의 통합적인 계획 아래 각 지역의 협력이 강조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메콩델타 지역과 인도네시아 드막 지역의 사례를 통해 두 지역 모두 자연친화적인 방법으로 기후변화를 대응하고 지역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것이 지속가능한 기후변화대응 수단 중 하나라고 판단된다. 2100년 메콩델타 지역이 기후변화대응에 실패했을 때 해수면 상승에 따라 도시가 침수되고 지역 주민의 삶의 터전을 잃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메콩델타 지역의 도시 개발은 기후변화대응과 녹색성장이 반드시 기반이 되어야겠다.1) 기수 양식: 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하구나 내만 따위와 같은 곳에서 하는 양식2)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인간 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복사량을 온실가스 농도 변화량을 결정하여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에 따른 변화를 표현[출처]- Global Center on Adaptation(2021), Living with water: climate adaptation in the world’s deltas- ADB(2013), Climate Risks in the Mekong Delta Ca Mau and Kien Giang Provinces of Viet Nam-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2016), REG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REPORT ON MEKONG DELTA INTEGRATED CLIMATE RESILIENCE AND SUSTAINABLE LIVELIHOODS PROJECT by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Wetland International, https://www.wetlands.org/- World Bank(2022),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Vietnam’ Environmental Science and Development Institute, http://vesdec.com.vn/* 본 칼럼은 2021~2023 동안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추진한 “기후위기 대응과 개발협력: 탄소중립 미래 지향적 역량강화사업(시민사회협력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음. (관리번호 제2021-35호).
번호
|
제목
|
닉네임
| ||
---|---|---|---|---|
31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138 | 2019.03.06 | |
31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940 | 2019.03.06 | |
31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495 | 2019.01.30 | |
31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107 | 2019.01.30 | |
31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230 | 2019.01.30 | |
31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0721 | 2018.12.27 | |
31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984 | 2018.12.27 | |
31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067 | 2018.12.27 | |
30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456 | 2018.11.29 | |
30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746 | 2018.11.29 | |
30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646 | 2018.10.24 | |
30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030 | 2018.10.24 | |
30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7608 | 2018.09.18 | |
30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7498 | 2018.09.18 | |
30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9839 | 2018.08.02 | |
30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954 | 2018.07.11 | |
30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401 | 2018.06.12 | |
30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218 | 2018.06.12 | |
29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8383 | 2018.05.15 | |
29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053 | 2018.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