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행동연구소조회 수: 2484, 2019.04.03 14:21:24
-
단도직입적인 질문이다. 미세먼지 문제, 앞으로 어떻게 될까? 요즘 많은 사람이 스스로에게, 또 전문가에게 묻는 질문이다. 우선 미세먼지가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자. 그러려면 먼지를 이해해야 하겠다. 먼지는 공기 중에 입자상 물질이 부유(浮遊, floating)하는 상태를 가리키고, 학술적으로는 에어로졸(aerosol)이라고 부른다. 또 작업장에서 생기는 먼지는 분진이라고 하고, 나대지에서 흩날리는 먼지는 비산먼지라고 부른다.
여기서 미세먼지는 그 중 입자 지름이 10㎛ 이하인, 작은 먼지를 일컫는 말이다. 입자 지름이 2.5㎛ 이하인 더 작은 먼지는 초미세먼지(PM2.5)라고 부르기도 한다. 초미세먼지는 입자가 작은 만큼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더 잘 흡착하고 우리 몸속 더 깊은 곳으로 침투하기 때문에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이 더 커서, 요즘 오존(O3)과 함께 대기오염물질 중 가장 관심을 많이 받고 있다.
그렇다면 처음의 질문으로 돌아가자. 미세먼지 문제는 어떻게 될까? 장기적으로는 나아질 것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농도는 2020년대까지는 악화하지만 2050년대에는 결국 하락한다[1]고 예측한다. 오존 농도 변화는 더 희망적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RCP8.5 외에는 2020년대부터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홍성철 외, 2016).
국립환경과학원. (2018).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서비스. 인천: 국립환경과학원.
기상자료개방포털. (2019). 종관기상관측. 서울: 기상청 국가기후데이터센터.
서울특별시 기후환경본부. (2019). 서울시 대기환경정보. 서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2018). 2017년 서울 대기질 평가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이현주 외. (2018). 한반도 미세먼지 발생과 연관된 대기패턴 그리고 미래 전망. 한국기후변화학회지, 9(4), 423~433.
주현수 외. (2017). 석탄화력발전 연료대체에 따른 환경·건강영향 분석. 세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홍성철 외. (2016). 한반도 피해가 최소화되는 동아시아 최적화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III) ― 대기질 건강영향 및 비용효과 분석 중심으로. 인천: 국립환경과학원.
박훈 연구위원
번호
|
제목
|
닉네임
| ||
---|---|---|---|---|
27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1367 | 2015.08.02 | |
27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0937 | 2015.05.13 | |
27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1386 | 2015.05.13 | |
27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2007 | 2014.12.15 | |
27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1403 | 2014.12.14 | |
27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0682 | 2014.12.14 | |
27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9340 | 2014.11.22 | |
27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9255 | 2014.11.22 | |
26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685 | 2014.10.18 | |
26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520 | 2014.10.16 | |
26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5282 | 2014.08.10 | |
26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691 | 2014.07.15 | |
26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5112 | 2014.06.22 | |
26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6816 | 2014.06.22 | |
26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059 | 2014.05.20 | |
26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5826 | 2014.05.20 | |
26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5652 | 2014.05.20 | |
26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5377 | 2014.04.24 | |
25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976 | 2014.04.24 | |
25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7719 | 2014.03.27 |
1.2차 생성량의 배출계수(0.345,0.079)는 어떻게 나온것인지요?
2.석탄발전소의 2차 생성 미세먼지 발생량 계산시 동일 계수를 사용해도 되는지?
3.석탄발전소와 LNG발전소의 경우 온실가스 량은 LNG 발전소가 약1/2정도 발생합니다. LNG발전소의 질소 산화물과 같은 오염물질이 2차 미세먼지 생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