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탄소 녹색산업, 세심한 준비 필요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4435, 2011.03.23 09:50:01
  • “ 이윤추구가 목적인 기업들에게 기후변화의 종착역이 인류 문명의 파국이라는 도덕적 설교를 할 생각은 없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소장은 “ 지금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으면 기업들이 후일 져야할 부담은 더 커진다 ” 고 말했다.  이처럼 당장 눈앞에 떨어진 탄소배출권거래도입에 따른 비용은 분명히 산업계 전체에 큰 부담일 수 있지만 , 마냥 연기하자는 산업계의 주장 역시 그대로 수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 물론 급하게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금물 . 

    따라서 정부와 산업계 간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실질적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기업들 역시 정부의 정책 강행을 무조건 반대하거나 비난하기 보다는 허심탄회한 대화와 토론 , 실질적인 대안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 

    경쟁국 , 산업계가 정부보다 먼저 준비
    탄소발생이 많은 포스코를 비롯한 철강업계와 석유화학 , 물류 유통업계 등은 제도 도입 시기를 2015 년 확정한 정부정책을 강도 높게 비난하고 있다 .
    또 이명박 정부 역시 처음 정책에서 훨씬 낮은 수준의 제도를 도입 시기까지 자신들의 임기가 끝나는 2 년 후로 미뤄 이번 논란을 후임 정부 몫으로 돌렸다는 데 대한 책임 회피를 피할 수 없게 됐다 . 

    환경 전문가들은 “ 현재 정부와 산업계가 소모적인 논쟁만을 벌이고 있다 ” 며 “ 미국을 비롯해 중국과 일본 등 탄소거래제 도입을 대외적으로 반대하는 국가들도 이미 정부와 업계가 거래제 도입이후 대안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 고 전했다 . 

    일본의 경우 개별기업 별로 선진화된 에너지 절감 기술을 신흥국에 제공 , 탄소배출권을 획득하고 있다 . 일본 도시바의 경우 올해부터 동남아시아와 중동의 빌딩과 상업 시설에 전력 소비를 줄이는 시스템을 무상으로 제공 , 녹색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탄소배출권을 미리 확보하는 등 제도도입 이후를 대비하고 있다 . 

    독일의 필립스도 반도체 제조공정을 모두 매각하고 차세대 조명시장 확보를 위해 LED 전등개발에 총력을 기울이며 , 조만간 닥칠 탄소거래제 준비에 나섰다 . 중국 역시 대외적으로는 거래제 도입에 반대하고 있지만 , 정부가 수력 , 풍력 , 태양광 산업 등에 막대한 예산을 책정하는가 하면 전 세계 전기자동차 시장 선점을 위한 투자를 늘리는 등 탄소거래제 도입에 따른 준비에 정부와 산업계가 함께 움직이고 있는 상황이다 .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들의 경우 탄소배출권 제도 도입에 따른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민 모두가 이미 탄소 발생억제에 대한 시스템과 생활 패턴을 전환하고 있다 . 

    기후환경변화연구소 윤인택 연구원은 “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움직이고 , 대응책을 마련하게 하기 위해서는 법규마련이 절실하다 ” 며 “ 제도 연기와 늦은 대응은 이미 개도국을 벗어나 OECD 가입국으로 국제적인 위상을 크게 하락시키는 요인이 될 것 ” 이라고 말했다 .
     
    일본의 경우 기업뿐 아니라 소비자들까지 저탄소 녹색기업들이 생산하는 제품을 조금 비싼 비용을 지불하면서도 구매해 적극 사용하고 있으며 , 이 분야에 대한 매출 또한 괄목할 만한 증가 추세에 있다 . 

    환경 전문가들은 “ 미래 탄소거래제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현재 제품에 명기하는 성분과 칼로리 등 제품 설명 이외에도 제품 당 탄소배출량을 표기할 수 있는 법과 제도 마련에 나서야 한다 “ 고 지적했다 . 

    기업들 역시 탄소절감을 위한 시스템 확보에 초기 투자비용을 부담하지만 , 이미 제품원가에 포함되어 있는 만큼 소비자들과 기업 , 정부가 모두 비용을 분담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물론 당장은 제품생산과 탄소절감을 위한 투자가 늘어나면서 제품 경쟁력 하락이 우려되지만 , 조금 멀리 내다보면 지속적인 기업 경쟁력을 위해서라도 실질적 대안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


    섬세한 대안과 정책마련 시급
    산업계 반발이 예상외로 거세게 일자 정부는 탄소거래제도 도입을 또 다시 2 년 연기 , 책임회피와 차기 정부의 부담으로 돌려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
    환경 전문가는 “ 이런 저런 핑계로 온실가스 감축부담을 피해 가려는 정부와 산업계의 행태는 처음이 아니라며 , 교토의정서 발표와 일련의 기후변화 논의에도 불구하고 , 개선되거나 변화된 사항이 없다 ” 고 지적했다 . 

    특히 배출권거래제를 필사적으로 반대하는 진짜 이유는 온실가스 목표관리제의 허술함에 있는 만큼 정부는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투명한 제도보완과 더불어 산업계도 장기적인 경쟁력을 위한 제도 마련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 

    한편 기업의 한 관계자는 “ 탄소배출이 많은 기업의 경우 비용을 투입해 배출권을 사는 현 제도는 기업을 하지 말라는 것과 같다 ” 며 “ 정부가 국제 산업시장에서 인기영합을 위한 정책보다 기업들의 입장에서 장기적이고 합리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 고 원색적인 비난을 퍼 부었다 . 하지만 ‘ 맞을 매라면 먼저 맞는 것이 났다 ’ 는 옛말처럼 이왕에 받아들여야 할 제도라면 좀 더 적극적인 제도 수용태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 

    지금도 녹고 있는 빙하는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거래제와 우리 생활과 별개의 문제가 아니다 . 소비자들 역시 지금이라도 보다 적극적으로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행동에 나서야 할 때다 . 북극의 눈물이 우리의 눈물 혹은 우리 아이들의 눈물이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 

     

    (2011.03.22, 이코노미세계, 손정우 기자)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about06/14554/daf/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1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15 2011.04.01
1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54 2011.03.31
1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73 2011.03.29
1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180 2011.03.28
1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28 2011.03.28
1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67 2011.03.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35 2011.03.23
1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378 2011.03.22
1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975 2011.03.22
1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45 2011.03.16
1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445 2011.03.16
1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37 2011.03.14
1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61 2011.03.10
1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80 2011.03.10
1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17 2011.03.10
1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47 2011.03.08
1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09 2011.03.08
1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47 2011.03.04
1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79 2011.03.02
1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92 2011.03.0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