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9/10/27 20년 이내 북극 얼음 완전히 사라질 수도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1372, 2010.11.23 18:12:00
  • 북극의 얼음 두께가 점점 얇아지고 있으며, 10년 이내에 여름철 얼음이 거의 사라질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라는 새로운 조사결과가 발표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그린피스/Flickr

     

    캐틀린 북극 조사(Catlin Arctic Survey) 소속 탐험가들은 450km의 북극 루트에 6,000개가 넘는 지점을 드릴로 뚫어 얼음 두께를 측정했다. 그 결과 측정된 유빙의 평균두께는 고작 1.8m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료 분석은 피터 와드햄스 교수가 이끄는 캠브리지 대학의 ‘극지해양물리학그룹’이 맡았다. ‘극지해양물리학그룹’은 세계에서 북극 얼음 연구로 가장 명성이 높은 전문가들의 모임이다.

      

     

    와드햄스 교수는 “얼음 두께와 양의 계절별 다양성, 온도변화, 얼음성분 등을 분석해 보면, 북극의 여름철 얼음층은 20년 이내에 완전히 녹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여름철 북극 얼음이 완전히 녹아 북극해를 가로질러 선박운항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북극의 해저와 동토의 툰드라 토양은 하이드레이트 상태로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있다. 만약 이것이 녹아 누출될 경우 상상할 수 없는 재앙이 예상된다. 이른바 기후피드백 현상이 작동되면서 지구온난화는 가속화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준관 선임연구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4106/f22/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99 2014.06.22
3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37 2014.05.20
3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16 2014.05.20
3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130 2014.04.24
3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279 2014.04.24
3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40 2014.03.25
3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701 2014.02.17
3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44 2014.02.17
3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982 2014.01.25
3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75 2014.01.25
3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162 2014.01.25
3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068 2013.12.16
3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708 2013.12.16
3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90 2013.11.24
3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230 2013.09.11
3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26 2013.09.11
3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20 2013.08.19
3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32 2013.07.27
3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100 2013.07.21
3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76 2013.07.03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