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행동연구소조회 수: 10765, 2012.04.23 13:49:42
-
최근 미국의 연구진이 고안한 ‘바이오반응기’라는 장치는 유전공학적으로 변형된 미생물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가솔린과 같은 밀도의 액상 연료 형태로 저장한다. 이 장치를 활용하면 식물의 광합성을 이용해 바이오연료를 얻는 것 보다 더 효율적으로 태양에너지로부터 연료를 얻을 수 있다. ‘통합 전기-미생물 바이오반응기(integrated electro-microbial bioreactor)’라는 이름의 이 반응기를 소개한 논문은 지난 3월 30일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Ralstonia eutropha라는 토양 미생물은 번식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얻기 위해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이미 이 미생물은 단백질 대신 플라스틱을 만들어내는 등 산업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바이오반응기에서 만들어지는 액상 연료 부탄올은 수송연료로 사용 할 수 있다. 생물반응기는 태양전지판에서 전기를 얻는다. 전류는 물과 이산화탄소, 토양 미생물로 채워져 있는 반응기의 전극으로 흐른다. 전기는 이산화탄소를 포름산염으로 변환시키는 화학반응을 일으키는데, 이때 수소이온은 미생물에 의해 불용성 수소 대신 에너지원으로 이용된다.
이 방법의 이점은 가장 성능이 뛰어난 배터리에 견줘 50배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고밀도 액상 연료를 얻는다는 데에 있다. 식물도 태양에너지를 흡수해 탄수화물 분자 형태로 저장하기 때문에 식량이나 연료로 사용될 수 있지만 문제는 효율이다. 예컨대 에탄올 옥수수는 흡수한 태양에너지의 0.2%만을 연료로 변환한다. 태양광 셀은 광자의 15%를 전기로 변환할 수 있지만, 얻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진들에 따르면 생물반응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경우 이론적으로 태양에너지의 9%를 저장 가능한 연료로 변환시킬 수 있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김미형 객원연구위원).
번호
|
제목
|
닉네임
| ||
---|---|---|---|---|
35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684 | 2014.06.22 | |
35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6327 | 2014.05.20 | |
35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828 | 2014.05.20 | |
35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6206 | 2014.04.24 | |
35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418 | 2014.04.24 | |
35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759 | 2014.03.25 | |
35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6794 | 2014.02.17 | |
35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6561 | 2014.02.17 | |
35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089 | 2014.01.25 | |
34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6494 | 2014.01.25 | |
34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6332 | 2014.01.25 | |
34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4146 | 2013.12.16 | |
34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7747 | 2013.12.16 | |
34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9274 | 2013.11.24 | |
34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4333 | 2013.09.11 | |
34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464 | 2013.09.11 | |
34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798 | 2013.08.19 | |
34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9759 | 2013.07.27 | |
34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3181 | 2013.07.21 | |
33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0027 | 201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