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다 산성화 속도 3억년을 통틀어 가장 빨라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4061, 2013.12.16 17:37:22
  • 인간이 내뿜는 이산화탄소의 최소 33%는 바다가 흡수하고 있다. 바다에 녹은 이산화탄소는 탄산으로 바뀌어 바닷물의 산성도를 높이게 된다. 현재와 같은 추세로 이산화탄소가 계속 배출될 경우 2100년경 바다는 산업혁명 이전보다 170% 강한 산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1월 말 폴란드 바르샤바 기후변화총회에서 발표된 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의 바다 산성화 속도는 지난 3억 년을 통틀어 가장 빠르다. 지난 30년 간 바다가 흡수한 에너지양은 17 x 1022J(줄)에 달하며 이는 30년 동안 히로시마 원자폭탄을 1초에 한 개씩 터뜨린 것과 맞먹는다.

     

    Acidification.jpg

     

     산성화된 바다에서는 이산화탄소 흡수가 줄어든다. 생물들도 점점 살기 어려워지기 마련이다.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생물은 칼슘성분을 이용하는 플랑크톤과 조개류다. 플랑크톤과 조개류는 해양생태계 먹이사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들이 사라지면 해양생태계는 붕괴의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수산업은 전 세계를 통틀어 약 5억4천만 명의 인구를 먹여 살리고 있다. 바다 산성화가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수산업의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바다산성화가 조개류와 같은 연체동물 군집에 상당한 피해를 줄 것이라는 점만은 분명해 보인다. 2100년까지 오징어, 굴, 조개 등 연체동물 수산업은 전 지구적으로 약 130조원에 달하는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근 미국 태평양 연안에서는 산도가 높은 바닷물이 밀려들면서 굴 유생 배양장이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기후변화를 늦추는 바다의 능력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바다가 앞으로 어느 정도 열을 흡수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바다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를 좀 더 분명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정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바다 산성화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고 국지적인 바다산성화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 조개수산업과 양식업 보호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지난달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기후변화총회에서는 국지적인 바다산성화를 막기 위해 해양보호구역을 설치하고 바다생태계를 보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바다산성화의 징후를 추적할 수 있는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육상에서 흘러드는 비료 성분은 물론 석탄화력발전소와 선박들이 내뿜는 이산화황이나 질소산화물을 엄격하게 감시하고 규제해야 한다는 것이다(안양대학교 해양바이오시스템공학과 류종성 교수,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운영위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56368/b1d/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061 2013.12.16
1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066 2013.05.06
1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656 2013.03.12
9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790 2013.01.06
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702 2012.05.07
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281 2012.04.23
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511 2012.02.29
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769 2011.08.17
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529 2011.08.01
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949 2011.07.11
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687 2011.06.20
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940 2011.06.13
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818 2011.05.16
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62 2011.04.23
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503 2011.03.28
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664 2010.12.08
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754 2010.12.08
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889 2010.12.08
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55 2010.12.08
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21 2010.11.29
태그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