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창동계올림픽 성공하려면…' 환경보호+재활용전략 필수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4080, 2011.07.14 10:16:47

  •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가 확정됐다. 11년에 걸친 끈질긴 도전 끝에 얻은 성과다. 우리나라는 세계 4대 스포츠대전(하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 세계육상선수권, 월드컵)을 모두 개최하는 여섯번째 나라가 됐다.

    축배를 들기에는 이르다. 남은 7년 동안 넘어야할 장애물이 한 두 개가 아니기 때문이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려면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할까.

    기후변화행동연구소는 14일 평창 동계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되기 위한 필수조건 2가지를 제시했다. 하나는 정부가 내세우고 있는 '경제효과'다. 나머지 하나는 현대 올림픽의 필수 조건인 '환경보호'다.

    동계올림픽을 개최하기 위해서는 7개의 경기장과 함께 도로와 철도가 개설돼야 한다. 여기에 드는 비용은 천문학적인 액수다. 교통망과 각종 인프라 구축에만 5조원이 들어가고 숙박시설과 경기장 건설비용까지 합치면 7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는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로 인해 얻게 될 직접적인 경제효과는 20조원, 향후 10년 간 거두게 될 간접효과는 40조원을 넘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수치는 현실과 동떨어진 숫자 놀음에 불과하다는 시각도 있다. 역사상 대부분의 동계올림픽들이 화려한 겉모습에 비해 경제 성적표는 초라하기 짝이 없었다.

    지금까지 동계올림픽을 개최해 흑자를 낸 경우는 지난 1994년 노르웨이의 릴레함메르(Lillehammer)가 유일하다.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은 110억 달러에 달하는 적자로 지금까지도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 지난해 밴쿠버 동계올림픽도 50억 달러의 적자를 냈다.

    릴레함메르는 어떻게 적자의 늪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을까. 사실 릴레함메르 주민들이 동계올림픽 개최를 원했던 건 아니다. 자칫 잘못하면 막대한 재정적자와 함께 아름다운 자연환경만 파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던 탓이다.

    주민들과 올림픽조직위원회는 흑자올림픽을 치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시작했다. 방안은 이랬다.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올림픽을 치러야 흑자가 된다'는 전략적 사고다.

    인구가 2만7000명도 되지 않는 작은 마을인 릴레함메르에서 동계올림픽을 개최한다는 것은 환경을 파괴할 가능성이 높은 20개 이상의 새로운 프로젝트가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된다는 사실을 의미했다.

    이 때문에 올림픽 폐막 이후 건물과 시설들을 어떤 용도로 쓸 것인가의 문제가 당면과제로 떠올랐다. 이들이 선택한 것은 철저한 '재활용' 전략이었다.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가건물을 설치해 숙소로 활용한 후 매각하거나 공공시설로 전환해 건설비용은 물론 폐막 후 관리비용을 최소화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음악학교인 토네하임 대학(Toneheim District College)은 숙박시설로 사용됐다. 학교 주변에는 컨테이너 등 많은 임시 숙소가 마련됐다. 아이스 하키 경기장(Gjovik Olympic Cavern Hall)은 25m 길이의 수영장과 전화기 회사의 시설을 함께 사용했다.

    빌딩과 임시 숙소는 대부분 임대한 것이고 불가피하게 새로 지은 185개의 숙소 가운데 141개는 올림픽이 끝난 후 개인들에게 매각됐다. 숙소가 모여 있는 마을 중심가의 서비스 센터는 은퇴한 사람들을 위한 요양소와 카페, 육아시설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가건물들 중에는 다른 지역으로 옮겨져 기숙사나 퇴직자 숙소, 콘서트 홀, 소방서로 쓰이고 있으며, 미디어센터는 지역 대학으로 탈바꿈했다.

    올림픽 폐막 이후에도 릴레함메르의 자연을 느끼기 위해 찾아오는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릴레함메르가 경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던 또다른 이유다. 여기에는 강력한 환경보호 의지가 한 몫했다.

    개막식과 폐막식이 열린 스키점프 아레나는 주변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지형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이용했고 자연석을 사용했다는 것이 좋은 예다.

    연구소 관계자는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성공은 평창 주민들에는 만족스러운 결과였다"며 "성공적인 행사 개최를 위해서는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환경과 어우러진 올림픽만이 성공을 보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리왕산에 알파인스키장을 짓는다는 것이 강원도와 올림픽유치위원회의 계획"이라며 "산림청은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어떤 협조 요청도 받은 적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어쩌면 평창 동계올림픽의 운명은 가리왕산의 운명에 달려 있는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2011.07.14, 뉴시스, 배민욱 기자)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about06/18548/a39/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80 2011.07.14
태그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