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 대지진 ] 긴급토론회, '방사능방재대책본부 설치해야'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2975, 2011.03.22 10:14:23
  • 환경재단(대표 최열)과 환경운동연합(대표 지영선) 주최로 17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 과연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긴급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은철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이석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기획부장, 오창환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장정욱 일본 마쓰야마 대학 경제학과 교수, 양이원형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장 등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국내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에 대해 찬반 토론을 펼쳤다.

    참석자들은 토론을 통해 "원전 신화의 상징이있던 일본에서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정부와 민간단체, 전문가, 언론 등이 함께 참여하는 방사능방재대책본부를 설치해야 한다"고 합의했다.

    또 "정부는 국민들에게 원자력 정책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사회적 합의를 통해 국민들은 스스로 에너지를 줄이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며 "나아가 우리 사회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내 원전의 안전성 문제에 대해 오창환 교수는 "역사상 국내에서 진도 6.5이상의 지진이 이미 8번이나 일어났고, 2년 전 판 교차지점이 아니었던 중국의 쓰촨성에도 지진이 일어났다"며 "우리나라도 지진에서 안전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오교수는 "정부는 안전한 내진설계만을 강조하지 말고, 모든 위험가능성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이원형 국장은 "일본의 사고를 계기로 우리도 방사능방재대책본부를 즉각 구성해야 한다"며 "방사능 노출 대비 약재인 요오드가 12만 5000명분, 세슘이 130명분밖에 없는 등 국내 대처시스템이 상당히 허술하다"고 지적했다.

    양 국장은 "30년 된 월성 1호기의 경우 수명연장 절차가 진행 중인데, 안전평가서를 공개해 국민으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정욱 교수는 "1990년 초까지 일본의 원전 가동률이 높았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이 일본을 역전했다"며 "만약 경기가 후퇴하거나 인구가 감소해 원자력 출력을 낮출 경우가 되면 전력공급을 조절할 수 없어져 아주 위험해진다"고 말했다.

    이석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기획부장은 "미국의 쓰리마일아일랜드 사고(1979년)와 체르노빌 사고(1986년) 이후 국내 원전은 국제기구의 기준을 모두 맞추고 있으며,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도 일본의 방사능이 국내로 들어올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밝혔다.

    이은철 서울대 교수는 "일본의 경우 지진과 쓰나미라는 불가항력적 자연재해이기도 하지만 발전소 폭발 원인은 인재(人災)이자 사회적 재앙이기도 하다"며 "중대사고가 날 경우 매뉴얼에 따라 수행하도록 돼 있지만, 극한 상황 훈련이 부족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최악의 비상 상황을 가정해 담당 기술자들의 대처요령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토론 후 질의응답시간에는 트위터 등을 통해 수많은 질문이 쏟아져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중국의 원전에서 사고가 날 경우 편서풍의 영향에 있는는 우리나라에 피해는 없느냐"는 한 참석자의 질문에 이석호 박사는 "중국의 원전사고가 나면 우리나라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볼 수 있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박사는 "원자력발전소는 100만개 이상의 부품과 구조로 이뤄졌는데, 일부의 지식만을 가진 전문가가 '100% 안전하다'고 얘기하는 걸 믿을 수 있느냐"고 지적했다.

    모두발언에 나선 최열 환경재단 대표는 "이번 토론을 통해 '기후변화를 줄이기 위해 원자력으로 가야한다'는 등의 우리나라 원자력 정책을 현 정부는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1.03.17, 뉴스비트, 장이권 기자)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about06/14411/265/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221 2011.04.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975 2011.03.22
태그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