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생태계 30년 이내 붕괴 가능성”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3159, 2011.06.27 12:18:58
  • “30년 내에 해양생태계가 붕괴될 수도 있다.” 지난 6월 21일 UN 산하 해양 전문가 모임인 해양현황에 관한 국제프로그램(International Programme on the State of the Ocean; IPSO)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등이 공동으로 발표한 보고서의 결론이다. 죽어가는 산호초, 외래종 침입으로 파괴되어 가는 생물다양성, 늘어가는 무산소 환경과 적조, 어패류의 대량폐사 등 바다는 깊은 병이 들어 시름시름 앓고 있다. 보고서는 이와 같은 상황이 수천만 년 의 과거 역사를 통틀어 처음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klima-article-Foto-ozean.jpg

     사진/ⓒ mattk1979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 벌어지고 있는 해양생태계의 붕괴속도는 불과 2-3년 전에 예측했던 최악의 시나리오보다 더 빠르다. 그 이유는 해양 산성화, 수온상승, 빙하 해빙, 넘쳐나는 쓰레기와 오염물질 등 바다 환경을 파괴하는 요인들이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키면서 과거 생명체들이 대량 멸종했던 시기와 비슷한 상황을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구상에서 동식물의 대량 멸종은 약 5억 년 전까지 모두 다섯 차례 있었다.

     

    이번에 발간된 보고서는 6개국 18개 기관에서 총 27명의 해양전문가들이 수백편의 과학논문을 검토한 결과를 종합해 작성되었다. 해양생태계의 붕괴를 막기 위해 지금 당장 실천해야 할 일들은 다음의 4가지다.

     

    1.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
    2. 해양생태계의 구조 및 기능 회복
    3. 사전예방원칙의 광범위한 적용
    4. 국가 관할권이 미치지 않는 먼 바다에 대한 효과적인 거버넌스 도입

     

    (한국해양연구원 전략개발실 류종성 선임연구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8070/0f8/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4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2 2018.08.02
4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39 2018.08.02
4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49 2018.08.02
4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94 2018.08.02
4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50 2018.08.02
4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55 2018.08.02
4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1 2018.07.11
4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2 2018.07.11
4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0 2018.07.11
4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7 2018.07.11
4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67 2018.07.11
4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4 2018.07.11
4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6 2018.07.11
4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24 2018.07.11
4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1 2018.07.11
4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74 2018.07.11
4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82 2018.06.12
4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56 2018.06.12
4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01 2018.06.12
4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7 2018.06.1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