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 “도시의 흙을 숨 쉬게 하라”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5788, 2011.05.30 02:10:06
  • 지난 5월 24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등 불투수층의 증가에 따른 문제점을 다룬 보고서를 발표했다. 흙이 불투수성 물질로 덮이게 되면 생물학적 기능 상실, 토양 내 종 다양성의 저하, 홍수피해의 증가 등 비가역적인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City_of_London.jpg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06년까지 유럽에서는 택지 및 산업단지 조성, 도로 건설, 레크리에이션 시설 조성 등으로 매년 1,000km²에 달하는 면적이 불투수층으로 변하고 있다. 이는 독일의 수도 베를린보다 더 넓은 면적이다. 국가별로는 불투수층 증가가 가장 빠른 국가는 몰타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룩셈부르크의 순이었다.   
     
    보고서는 공간계획의 개선, 불투수층의 증가를 간접적으로 야기할 수 있는 보조금제도의 재검토 등과 함께 옥상녹화와 투수성 주차장 건설 등을 대처 방안으로 제시했다. 또한 특정 지역에서 토양이 불투수층으로 변할 경우 다른 지역에서 토양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서 그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할 것을 권하고 있다.
     
    지난 2006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토양보호를 위해 제안했던 ‘토양관리 기본지침’은 일부 회원국의 반대로 아직까지 의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 담긴 내용은 회원국 정부들을 위해 2012년 상반기에 발간될 예정인 토양보호의 최적 실행방안을 위한 기술보고서에 반영될 예정이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김미형 객원연구위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217/1b8/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1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205 2010.11.24
1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157 2010.11.24
1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03 2010.11.24
1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937 2010.11.24
1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85 2010.11.24
1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547 2010.11.24
1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775 2010.11.24
1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85 2010.11.24
1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44 2010.11.24
1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784 2010.11.24
1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721 2010.11.24
12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234 2010.11.24
1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93 2010.11.24
1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714 2010.11.24
1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114 2010.11.24
1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217 2010.11.24
1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052 2010.11.24
1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345 2010.11.24
1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582 2010.11.24
1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46 2010.11.24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