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스트레일리아 산불의 정치경제학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200, 2020.04.24 11:57:06
  • 지난 여름 호주는 역사상 가장 참혹한 산불을 경험했다. 80일 동안 포르투갈 면적보다 넓은 4,600만 에이커(약 18만6천 ㎢)의 숲이 불탔고, 10억 마리의 동물이 생명을 잃었으며 수많은 가옥이 파괴되었고 인명이 희생되었다. 연기는 뉴질랜드에 이르렀고 나빠진 공기는 1,130만 호주인을 괴롭혔다. 이 기간 동안, 호주의 1년간 탄소 배출량에 해당하는 4.34억 톤의 탄소가 대기에 배출되었다. 이 산불은 기후변화에 연유한 것이다. 기후변화는 해들리 순환을 확대했고 이는 남극방향으로 고온을 확산했다. 이로 인한 호주의 가뭄과 고온화 때문에 산불 철의 기간과 강도가 증가했다. 그러나 이 화재는 정치 분야에서의 기후행동을 거의 촉발하지 못했다. 대신 호주는 바로 그 화재와 같은 극단적 날씨를 발생시키는 화석연료의 추출과 연소를 확대하고 있다. 왜 자유당 연립정부는 이러한 경로를 걷는 것일까? 2014년 자유당이 권력을 되찾은 후 탄소-가격화 계획을 철회함으로써, 이전 정부에서 성공적으로 추진하던 탄소 감축을 불가능하게 했다. 호주의 탄소 배출량은 전세계의 1.3% 밖에 차지하지 않지만 화석연료 수출에 따른 간접 배출량까지 포함하면 4.15%에 이르며, 이는 선진국에서 1인당 가장 높은 수치이다. 호주의 경제는 여전히 화석연료의 생산과 수출에 의지하고 있다. 기저부하는 여전히 석탄발전에 의존하고 있고 일본, 한국 및 중국에 대한 주요 석탄 및 가스 수출국이다. 한편 광산업과 자원 분야는 호주 수출의 50%를 차지하며 GDP의 8%를 차지한다. 한편, 기후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을 농업, 관광, 유학 등도 GDP의 8%를 차지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1인당 경제손실도 세계 평균보다 12~14배 많다. 호주 경제학자 로스 가너(Ross Garnaut) 박사는 호주가 태양광 및 풍력 자원이 풍부하고 배터리 저장 시스템의 비용 또한 많이 하락했기 때문에 203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면서도 경제적 번영을 이룰 수 있다고 밝혔다.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7821/b25/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10 2013.07.03
3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683 2013.05.29
3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82 2013.05.28
3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682 2013.05.12
3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070 2013.05.06
3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232 2013.04.23
3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192 2013.04.22
3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137 2013.03.26
3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705 2013.03.26
3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657 2013.03.12
3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168 2013.03.11
32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692 2013.02.25
3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89 2013.02.24
3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977 2013.02.24
3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764 2013.02.04
3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820 2013.02.04
3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923 2013.01.22
3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722 2013.01.21
3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84 2013.01.10
3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845 2013.01.09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