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반도 4도 상승…금세기 말 ‘폭우·한파 일상화’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4685, 2011.09.22 09:35:07
  • 금세기 말에는 폭우나 한파 같은 기상재해가 일상화될 것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왔습니다.

    한반도의 기후변화 동향을 정리한 결괍니다. 용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집중호우는 이제 더 이상 이변이 아닙니다.

    폭염이나 한파, 폭우 같은 재해도 해마다 찾아오는 일상적인 기후현상이 됩니다.

    한반도 기후변화 동향과 전망을 평가한 결과 금세기 말에는 지난 세기 말에 비해 평균 4도나 오를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인터뷰>홍유덕(환경과학원 기후변화과 과장) : "전 지구가 걸어왔던 대기순환을 벗어나서 새로운, 극한적인 기후를 유발할 수 있는 그런 식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온난화로 해수면이 1미터 오를 경우 국토의 1.2%, 백2십만 명이 사는 지역이 물에 잠길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현재 남해안에 걸쳐 있는 아열대 기후대는 2천백 년 서울까지 북상합니다.

    이에 따라 일부 남부 지방은 벼농사 2기작도 가능해지지만 벼 성숙일수가 부족해져 수확량은 오히려 13% 줄어듭니다.

    그나마 이런 피해는 온실가스 감축에 어느 정도 성공했을 경우의 시나리오입니다.

    감축에 실패하면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최악의 경우 세계 평균 온도는 6도 상승하고 한반도는 그보다 더 오르게 됩니다.

    <인터뷰>안병옥(기후변화행동연구소장) : "기후변화협상이 지금 타결되지 않고 있는데요, 만약에 이 상태가 그대로 가게 되면 거의 재앙에 가까운 시나리오가 벌어질 수도 있다."

    아직도 예측이 불확실한 기후변화, 그만큼 우리의 미래도 불안합니다.

    (2011.09.21, KBS뉴스, 용태영 기자)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about06/20591/269/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4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60 2014.04.22
4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32 2014.04.22
4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84 2014.04.22
4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78 2014.04.22
4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32 2014.04.22
4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5 2014.04.22
4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48 2014.03.26
4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59 2014.03.26
4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29 2014.03.26
4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34 2014.03.25
4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02 2014.03.25
4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01 2014.03.25
4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04 2014.03.25
4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89 2014.03.25
4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451 2014.03.25
4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90 2014.02.18
4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52 2014.01.26
4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10 2014.01.26
4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35 2014.01.26
4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38 2014.01.26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