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톨릭평화방송] "겨울 온난화는 지구적 재앙의 전조...남은 시간 많지 않아" 박훈 연구위원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265, 2020.01.29 11:34:53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 

    고정코너 '기후정의를 말한다' 1월 28일 방송

    "겨울 온난화는 지구적 재앙의 전조...남은 시간 많지 않아" 박훈 연구위원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연구위원)

    ■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pbc 가톨릭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pbc 가톨릭평화방송'에 있습니다.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박훈 연구위원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매주 화요일 기후변화와 관련한 쟁점과 이슈, 국내외 환경 뉴스를 통해 기후정의를 생각해보는 코너죠.

    기후변화행동연구소와 함께하는 <기후정의를 말한다>

    오늘은  박훈 연구위원과 함께 ‘따뜻한 이번 겨울의 의미’에 대해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훈 위원님?

    ▶안녕하세요.


    ▷이번 겨울이 겨울 날씨답지 않다, 설도 설 같지 않다는 느낌을 받았다는 분들 많으신 것 같은데, 박훈 위원께서도 그런 말씀 들으셨겠지요. 어떠셨나요?

    ▶제 어머니도 설 연휴가 워낙 따뜻해서 ‘정말 기후 온난화가 맞긴 맞나 보다’고 하셨습니다. 저도 궁금해서 우리나라 기후평년값과 이번 설 연휴의 기온을 비교해 봤습니다. 우리가 보통 우리나라 기후 평년값이라고 하면 1981년부터 2010년에 걸친 30년 관측치를 평균해서 구하는데요, 그 30년 동안 1월 24일부터 26일의 전국 평균 기온은 영하 1.6°C였고, 아침 최저 기온은 평균 영하 6.2° 였습니다. 그런데 올해 설 연휴 사흘 동안은 전국 평균 기온이 영상 5.2°C로 예년보다 6.8°C나 높았습니다. 연휴 기간 전국의 아침 최저기온 평균값도 영상 0.7°C를 기록해서 예년보다 6.9°C 더 따뜻했습니다. 이에 따라 전국의 낮 최고기온 평균값도 영상 10.2°C까지 올라갔는데요, 기후평년 값에서는 이 정도 낮 최고기온이 3월 상순(3월 8~9일)이나 돼야 나타납니다. 정말 보기 드물게 푸근한 설 연휴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겨울은 설 연휴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도 예년보다 따뜻했을 것 같은데, 그것도 확인해 보셨나요?

    ▶아직 겨울이 다 지나지 않았습니다만, 내친김에 지난 12월 1일부터 이번 설 연휴까지의 평균 기온도 기후 평년값과 비교해 봤습니다. 전국 평균 기온은 영상 2.6°C를 기록해서 예년보다 2.3°C 높았고, 아침 최저 기온 평균값은 영하 1.7°C로서 우리나라 예년 평균보다 2.6°C 높았습니다.


    ▷ 지난 번 조아라 연구원께서 이번 겨울에 눈이 적게 온다고 말씀했었는데, 기온도 평소보다 2~3°C 높아졌군요. 이렇게 따뜻한 겨울이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아예 기후로 굳어진다면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당장 강원도와 경기도를 비롯한 각 지자체 겨울 축제에는 악재가 될 수밖에 없겠어요?

    ▶네, 겨울철 평균 기온이 점점 더 상승하면 말씀하신 대로 겨울 축제나 스키장 등에는 피해가 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꼭 나쁜 변화만 생기지는 않습니다. 폭설이나 도로 결빙으로 인한 피해 등이 줄어들어서 사고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린이들은 눈사람 만들 기회가 줄어들어서 아쉽지만 단열이 잘되지 않는 집에 사는 분들은 에너지 비용을 더 부담하지 않아도 견딜만한 겨울이 되고, 노동자는 겨울에도 실외에서 일하기 쉬워지니, 겨울철 온난화가 무조건 싫지만은 않으실 겁니다.


    ▷말씀을 들어보니, 여름이 더워지는 것은 폭염과 온열질환 등으로 걱정이 많이 됩니다만, 겨울 온난화는 꼭 나쁘게 들리지만은 않습니다. 그런데 지난 1월에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의에서 발표한 세계위험보고서 2020년판은 전 세계가 올해 대응해야 할 위험 중 ‘가장 발생 확률이 큰 것’이 극한 기상현상이고, ‘파괴력이 가장 큰 위험’은 기후행동 실패라고 단언했다고 하던데요. 겨울 온난화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우리나라 겨울의 변화만 생각하고 그리 걱정할 것이 아니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이 코너의 제목인 ‘기후 정의’의 관점에서 본다면, 겨울 온난화는 전 지구적으로는 큰 재앙의 전조인 만큼 모두가 힘을 모아서 막아야 할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래서, 우리 청취자분들은 앞으로 겨울 온난화 얘기가 나오면 ‘극지의 온난화’까지 우리에게 나타나는 변화로 포함해서 고민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극지의 온난화라고 하니까 너무 먼 나라의 이야기로 들리는데, 저만의 생각일까요?

    ▶네. 저도 우리나라에 극지연구소라는 연구기관이 있다는 얘기를 처음 들었을 때는 ‘우리나라에서 극지까지 연구해야 할까’라고 생각하면서 의아해하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는 극지의 기후변화가 극지 주변의 사람과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전 지구 생명체의 미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분명히 보여줍니다.작년 가을에 IPCC, 즉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가 발표한 ‘해양 및 빙권 특별보고서’를 이 코너에서 소개했습니다만 그 이후 나온 주요 연구 결과는 빙권에 포함된 극지, 즉 남극과 북극, 그린란드와 툰드라 등의 기후변화에 우리나라와 같은 중·저위도 국가들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 IPCC 즉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의 해양 및 빙권 특별보고서를 소개하셨을 때는 그린란드와 남극, 또 히말라야와 같은 고산지의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추가로 상승하면 인천과 같이 바다에 접한 지역은 침수우려가 있다고 말씀하신 걸로 기억하는데요. 그 외에 우리가 함께 대응해야 할 중대한 변화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극지의 온난화는 특정한 변화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겠지만, 그 변화가 다른 연쇄적 변화를 일으키는 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더 중요합니다. 작년 말에 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논문은 , 즉 바다얼음의 면적 감소가 전 지구적인 기후 급변점이 도미노 현상을 일으키는 데 북극의 해빙기폭제가 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북극의 바다얼음이 녹으면 북극해 주변의 지역적 온난화를 가속합니다. 가까이는 툰드라와 같은 지역의 영구동토가 녹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북극 해빙 감소가 일으키는 더 중요한 변화는 그린란드에서 증폭됩니다. 그린란드의 얼음이 녹아서 막대한 양의 차가운 민물이 대서양에 흘러 들어갑니다. 이 민물의 유입은, 적도 부근의 따뜻한 바닷물을 대서양 북쪽으로 운반하고, 찬 바닷물은 깊은 바다로 가라앉히던 해류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류[Atlantic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 AMOC])의 속도를 떨어뜨려서, 대서양 전체의 열과 염류의 흐름을 교란합니다. 이 교란 효과는 놀랍게도 아프리카 사헬의 가뭄을 악화하고 남미 아마존도 건조하게 합니다. 연쇄작용은 계속되어서, 마지막에는 남극해에 열이 축적되도록 만들어서 남극의 얼음이 더 빨리 녹게 한다고 합니다.


    ▷ 북극해의 바다얼음이 줄어들면 남극의 얼음까지 더 빨리 녹는다니, ‘모든 것이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말씀하신 프란치스코 교황의 통합 생태론이 떠오릅니다. 그런데 위원님께서 말씀하신 변화가 먼 미래의 일만은 아니라고 보여지는데요?


    ▶전 지구가 힘을 합해 기후변화 속도를 늦춘다면 먼 미래의 일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만, 안타깝게도 현재의 변화 방향은 그렇지 않습니다. 최근에 나온 다른 논문은, 현재(1981~2005년 평균)에 비해 연평균온도가 2°C 추가 상승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북극이 전 지구 평균보다 25~50년 더 짧을 것으로 예측합니다.이 예측에 따르면, 이런 변화가 계속되면 전 지구 연평균 온도가 2°C 추가 상승할 때쯤에는 북극 연평균 온도가 4°C 상승해버리고, 겨울 평균 온도는 7°C까지 상승해서 바다얼음의 감소를 한층 재촉하게 됩니다. 전 지구가 기후변화정책 없이 화석연료를 지금처럼 사용하는 경제성장 정책을 펴는 경로를 밟는 최악의 상황에는 21세기 말에 냉대지역의 늦가을 평균기온이 13°C까지 추가로 상승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냉대지역 습지에 갇혀 있던 메탄까지 걷잡을 수 없이 방출됩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30배까지 강하기 때문에 전 지구적인 재앙을 앞당길 가능성이 더 커집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 지구적인 변화가 일어나기 훨씬 이전에, 같은 논문의 저자들은 백만 명이 넘는 극지 원주민이 스스로 적응하기 힘들 정도로 큰 변화가 급속히 일어날 것으로 예측합니다. ‘기후 정의’의 관점에서 극지 원주민을 공동체로 생각하고 우리부터 적극적인 기후행동을 실천한다면, 기후 급변현상의 도미노가 우리나라에 이르기 전에 멈출 수도 있지 않을까, 기도하는 마음으로 기대해 봅니다.


    ▷우리나라의 겨울 온난화에서 북극 바다얼음의 위기를 기억하자는 박훈 위원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기후정의를 말한다> 오늘은 기후변화행동연구소 박훈 연구위원과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방송 다시듣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4/177293/601/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3 2019.12.26
2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8 2019.12.26
2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5 2019.12.12
2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6 2019.12.12
2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2 2019.12.04
2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1 2019.12.04
2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95 2019.12.04
2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3 2019.12.04
2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7 2019.12.04
2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1 2019.11.20
2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9 2019.11.20
2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28 2019.11.20
2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38 2019.11.20
2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2 2019.11.07
2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3 2019.11.04
2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6 2019.11.04
2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36 2019.10.21
2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6 2019.10.21
2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08 2019.10.21
2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9 2019.09.26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