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패드, 친환경제품 아니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5044, 2011.06.15 10:34:23
  • "중국 공장서 매년 탄소 380만톤 내뿜지만 책임안져"

    애플이 친환경적인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아이패드가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는 13일 기후변화 분야의 유명 블로거 중 한 명인 조 롬(Joe Romm)이 견해를 소개했다. 롬은 "애플사는 아이패드를 친환경적인 제품으로 믿고 있는 것 같다"며 그 근거로 애플사가 최근 아이패드의 '친환경 프로필'을 만들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자신들의 노력을 부각시키고 있음을 지적했다. LED 액정에 수은을 사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유리에 비소를 사용하지 않으며,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재활용이 가능한 알루미늄과 유리를 사용하고 글로벌 에너지 효율 기준을 훨씬 웃도는 전원 어댑터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패드의 대량생산 과정이 완전히 친환경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는 지적이다. 애플사는 미국의 규정에 따라 매년 미국 내 소유 건물과 기업 운영과정에서 배출하는 40만톤, 그리고 아이패드를 수출하기 위해 선적하는 과정에서 배출하는 약 50만톤의 이산화탄소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하지만 380만t가량의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해서는 여전히 책임을 지고 있지 않다. 제품 생산이 중국에서 이루어지면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이기 때문에 규제를 받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는 애플사가 아이패드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의 무려 81%에 달한다.

    여기에 더해 첫 번째 버전이 나온 지 1년 만에 아이패드 2가 출시되었다는 사실은, 요즘 들어 정보통신기기의 수명이 얼마나 짧아졌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사용하던 아이패드를 중고시장에서 판매한 뒤 새 제품을 사는 경우도 있지만, 반대로 불법 중고 판매가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최신 정보통신기기의 잦은 교체는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최신 정보통신기기를 만들어내는 기업들은 제품을 오래 쓸 수 있도록 튼튼하게 만들어서는 거의 이득을 남기지 못한다. 오히려 소비자가 끊임없이 새 제품을 사도록 만들어야 많은 이윤을 남길 수 있다.

    롬은 "이런 근본적인 문제들이 빠른 시일 내에 해결되기는 힘들 것"이라며 "소비자의 압력만이 애플사가 보다 친환경적이고 윤리적인 기업이 되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11.06.14, 내일신문, 이재걸 기자)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about06/17661/aab/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51 2012.12.17
3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250 2012.12.10
3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449 2012.12.10
3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05 2012.12.10
3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272 2012.12.04
3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02 2012.12.04
3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811 2012.11.28
3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354 2012.11.28
3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67 2012.11.28
3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588 2012.11.28
3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21 2012.11.28
3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376 2012.11.28
3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689 2012.11.26
3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658 2012.11.16
3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198 2012.11.13
3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484 2012.11.12
3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28 2012.10.23
3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31 2012.10.22
3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69 2012.10.22
3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89 2012.10.17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