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외 감축으로 해결하려던 온실가스의 83% 국내서 줄인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396, 2018.07.11 09:34:27
  • 203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온실가스 감축량 가운데 국외 감축을 통해 상쇄하기로 했던 분량의 약 83%를 국내에서 추가 감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가 28일 공개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기본로드맵 수정안을 보면, 정부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85080t 35.1%(29860t)를 산림흡수원 활용을 포함한 국내 감축 노력으로 줄이고, 1.9%(1620t)를 개발도상국과의 양자협력 등 국외 감축을 통해 줄인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산업, 건물, 수송 등 각 부문의 2030년 배출전망치 대비 감축률은 기존 로드맵에 비교해 많게는 두 배 가까이 높아지게 됐다.


    표: 부문별 감축 목표 종합 및 기존 로드맵과 비교(단위: 백만톤, %)

    부문

    배출전망

    (BAU)

    기본 로드맵

    수정안

    감축 후 배출량

    (감축량)

    BAU 대비 감축률

    감축 후 배출량

    (감축량)

    BAU 대비 감축률

    배출원 감축

    산업

    481.0

    424.6

    11.7%

    382.4

    20.5%

    건물

    197.2

    161.4

    18.1%

    132.7

    32.7%

    수송

    105.2

    79.3

    24.6%

    74.4

    29.3%

    농축산

    20.7

    19.7

    4.8%

    19.0

    8.2%

    폐기물

    15.5

    11.9

    23.0%

    11.0

    28.9%

    공공기타

    21.0

    17.4

    17.3%

    15.7

    25.3%

    탈루 등

    10.3

    10.3

    0.0%

    7.2

    30.5%

    감축수단

    활용

    전환

    (333.2)1

    -64.5

    -

    (확정 감축량)-23.7

    -

    (추가감축잠재량)-34.12

    E신산업/

    CCUS

    -

    -28.2

    -

    -10.3

    -

    산림흡수원

    -

    -

    -

    -22.1

    4.5%

    국외감축 등

    -

    -95.9

    11.3%

    -16.2

    기존 국내감축

    631.9

    25.7%

    574.3

    32.5%

    합계

    850.8

    536.0

    37.0%

    536.0

    37.0%

    비고: 1. 전환부문 배출량(333.2백만톤)은 전기 및 열 사용량에 따라 부문별 배출량에 포함되어 합계로 산정됨; 2. 전환부문 감축량 23.7백만톤 확정, 추가감축 잠재량은 ’20 NDC 제출 전까지 확정


    □ 감축 경로(장기대책의 연도별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3년 단위로 감축경로 설정)

    2030.png

    비고: 경로 내 범위로 표시된 부분은 전환부문 추가 잠재감축량을 고려한 값임.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851040.html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3/174985/e2d/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10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40 2016.10.18
10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0 2016.10.18
10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5 2016.10.07
10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47 2016.10.07
10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1 2016.10.07
10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3 2016.10.07
10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8 2016.10.04
10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5 2016.10.01
99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0 2016.10.01
9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2 2016.09.22
9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5 2016.09.20
9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7 2016.09.20
9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1 2016.09.20
9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4 2016.09.20
9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4 2016.09.07
9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5 2016.09.03
9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1 2016.09.03
9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24 2016.08.30
9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5 2016.08.30
9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21 2016.08.25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