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행동연구소조회 수: 234, 2017.04.13 17:36:54
-
과학자들은 보통 생물 종의 평균 수명을 200만~500만년으로 본다. 이를 기준으로 보면 20만년 전에 등장한 호모 사피엔스의 종 수명은 10분의 1도 지나지 않았다. 46억년 지구 역사를 1년으로 치면 불과 23분에 해당하는 시간이다. 12월31일 밤 11시37분에야 인류가 탄생했다는 얘기다. 인류가 문명의 꽃을 피우기 시작한 농경시대로부터 따지면, 1분 남짓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 짧은 시간에 인류는 어느 생물 종보다도 큰 변화를 지구에 초래했다. 자신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지구 자원에 손을 댄 결과다. 인류 때문에 6번째 대멸종이 시작됐다는 소리가 나올 정도다. 그 짧은 세월 동안 도대체 지구에서 무슨 일을 벌인 것일까?...[원문보기]
(한겨레, 2017.04.10, 곽노필의 미래창)
번호
|
제목
|
닉네임
| ||
---|---|---|---|---|
104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82 | 2017.01.26 | |
104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44 | 2017.01.22 | |
104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92 | 2017.01.22 | |
104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678 | 2017.01.20 | |
104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14 | 2017.01.20 | |
104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89 | 2017.01.04 | |
104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89 | 2017.01.04 | |
104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79 | 2016.12.30 | |
103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41 | 2016.12.30 | |
103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02 | 2016.12.22 | |
103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50 | 2016.12.20 | |
103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741 | 2016.12.20 | |
103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58 | 2016.12.20 | |
103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80 | 2016.12.13 | |
103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54 | 2016.12.13 | |
103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46 | 2016.12.09 | |
103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55 | 2016.12.09 | |
103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53 | 2016.12.09 | |
102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62 | 2016.12.09 | |
102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70 | 2016.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