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행동연구소조회 수: 2096, 2020.12.24 18:15:10
-
네덜란드 환경평가기구(PBL)는 2019년에 전 세계가 574억 이산화탄소상당량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했다고 추정합니다. 토지이용·토지이용변화·임업(LULUCF; 산림·이탄 화재 포함)을 제외하면 524억 톤CO₂eq을 배출하여 2018년보다 1.1% 증가했는데, LULUCF를 포함하니 그 증가 폭이 4.8%로 급증했습니다. LULUCF는 추정량에 불확실성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지만, 산림을 비롯한 자연생태계 파괴는 우려스러운 변화입니다.
한편, 국가별로 보면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 15개국 중 1위인 중국이 140억 톤CO₂eq을 배출, 전 세계 배출량의 약 27%를 차지했고 전년 대비 증가량도 4억2천만 톤CO₂eq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컸던 나라는 인도네시아(전년 대비 5.9% 더 많이 배출)였고, 감소율이 가장 컸던 나라는 독일(6.7% 감소)이었습니다.
전 지구 탄소 프로젝트(Global Carbon Project, GCP)가 발표한 2019년 이산화탄소 배출량 기준으로 전 세계 9위의 배출국인 우리나라는, 같은 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으로는 14위였습니다. GCP는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년보다 약 3.7% 감소했다고 추정했는데, PBL은 우리나라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이 2.7% 감소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번호
|
제목
|
닉네임
| ||
---|---|---|---|---|
32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27 | 2021.01.20 | |
31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994 | 2021.01.18 | |
31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43 | 2021.01.15 | |
31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43 | 2021.01.07 | |
31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77 | 2021.01.07 | |
31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542 | 2021.01.04 | |
31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14 | 2020.12.26 | |
√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096 | 2020.12.24 | |
31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80 | 2020.12.23 | |
31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17 | 2020.12.15 | |
31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80 | 2020.12.13 | |
30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201 | 2020.12.11 | |
30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94 | 2020.12.05 | |
30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22 | 2020.12.03 | |
30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71 | 2020.12.03 | |
30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05 | 2020.11.29 | |
30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30 | 2020.11.25 | |
30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61 | 2020.11.24 | |
30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28 | 2020.11.24 | |
30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91 | 2020.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