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CA 카드뉴스 #105]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 쓰인 모형들의 성능 비교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93, 2022.06.08 22:43:00
  • AR6-IAMs-Comparison.jpg

     

    통합평가모형(IAMs, Integrated Assessment Models)은 전지구기후모형(GCMs, Global Climate Models)과 지구시스템모형(ESMs, Earth System Models) 등의 기후모형에서 생성된 기초자료에 경제, 에너지, 토지사용변화 등을 통합하여 기후변화를 재현하고 정책경로/시나리오별 기후변화도 예측합니다. 2015년부터 공통사회경제경로(SSPs,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의 표지 시나리오(marker) 생성에 쓰여서 유명해진 6대 통합평가모형(SSP1: IMAGE[네덜란드], SSP2: MESSAGE[오스트리아], SSP3: AIM[일본], SSP4: GCAM[미국], SSP5: REMIND[독일], 추가: WITCH[이탈리아])은 상당수가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국가/지역/부문별 모형에도 응용되고 있습니다만, 파생된 모형들의 성능이나 신뢰도는 일정하지 않습니다.

    노르웨이 CICERO 기후연구센터(CICERO Senter for klimaforskning)의 과학자 Glen Peters가 자신의 트위터에서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 쓰인 통합평가모형을 비교한 결과를 간단히 제시했는데, 모형별 성능이 차이가 큽니다. 덜 알려진 POLES(유럽연합), COFFEE(브라질) 등이 훌륭한 결과를 내기도 합니다. 유명한 모형을 쓴 실험 결과도 신중하게 검토해야 더 바람직한 기후정책에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GIR. (2020). 온실가스-에너지 모형 발전 방향 연구 최종보고서.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GIR).

    Riahi, K. et al. (2017). The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and their energy, land us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implications: An overview. Global Environmental Change, 42, 153–168.

    SSP. (2015). SSP Model Documentation. IIASA.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4/1691814/e78/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4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5 2022.08.30
4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9 2022.08.30
4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9 2022.08.30
4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3 2022.08.21
4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1 2022.07.01
4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5 2022.07.01
4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0 2022.06.30
4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8 2022.06.30
4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 2022.06.30
4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 2022.06.24
4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9 2022.06.17
4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6 2022.06.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3 2022.06.08
4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3 2022.06.03
4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89 2022.05.11
4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7 2022.05.06
4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1 2022.05.06
4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3 2022.05.06
4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8 2022.05.06
4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3 2022.04.29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