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행동연구소조회 수: 266, 2022.02.22 21:02:17
-
국가 탄소중립 달성이 매우 긴급하고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다면 지방자치단체의 탄소중립 목표는 어떨까요? 기초지자체별로 최종에너지 소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봤습니다. 그리고 소비 부문별로 기초지자체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구했습니다. 분석 결과, 우선 세 가지 질문이 떠오릅니다.
첫째, 사람도 많이 살지 않은 몇몇 지방 기초지자체의 일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다고(또는 표에서 일인당 온실가스 배출량 전국순위가 높다고), 무조건 해당 지역이 책임 지라고 할 수 있을까요?
둘째, 인구가 많은 도시는 대체로 가정과 상업 부문이 온실가스 배출량 비율이 높지만, 다른 지역은 대체로 산업 부문이 대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차지합니다. 온실가스를 더 많이 배출하는 부문이 감축을 위해서도 더 많이 노력해야 하는 것 아닐까요?
셋째, 직접배출량과 간접배출량을 구분하면, 간접배출량의 원인이 되는 전력 및 열 사용은 지역 간 형평성 문제의 또 다른 원인입니다. 간접배출량이 많은 지역에 전력이나 열을 공급하는 화석연료 발전소(대부분 다른 지역 소재)가 재생에너지 발전소로 바뀌도록, 간접배출량이 많은 지역이 도와야 하지 않을까요?
- B01.jpg(428.8KB/26)
- B03.jpg(402.7KB/27)
- B02.jpg(362.6KB/28)
- B06.jpg(218.8KB/26)
- B05.jpg(336.1KB/29)
- B04.jpg(290.7KB/25)
- B07.jpg(220.1KB/22)
- B08.jpg(220.2KB/24)
- B09.jpg(177.5KB/31)
- B10.jpg(410.2KB/23)
- B11.jpg(389.7KB/28)
- B12.jpg(378.6KB/25)
- B13.jpg(356.9KB/26)
- B14.jpg(382.4KB/21)
- B15.jpg(423.6KB/27)
- B16.jpg(378.3KB/24)
- B17.jpg(332.6KB/22)
- B18.jpg(381.2KB/27)
- B19.jpg(355.7KB/26)
- B20.jpg(382.0KB/21)
- B21.jpg(149.8KB/29)
번호
|
제목
|
닉네임
| ||
---|---|---|---|---|
40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58 | 2022.05.06 | |
40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52 | 2022.04.29 | |
40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07 | 2022.04.24 | |
39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38 | 2022.04.17 | |
39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27 | 2022.04.17 | |
39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484 | 2022.04.14 | |
39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62 | 2022.04.09 | |
39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89 | 2022.03.28 | |
39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96 | 2022.03.19 | |
39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12 | 2022.03.16 | |
√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66 | 2022.02.22 | |
39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18 | 2022.02.22 | |
39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44 | 2022.02.10 | |
38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32 | 2022.01.15 | |
38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95 | 2022.01.01 | |
38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65 | 2021.11.13 | |
38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54 | 2021.11.10 | |
38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593 | 2021.11.10 | |
38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58 | 2021.10.31 | |
38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83 | 2021.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