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행동연구소조회 수: 1875, 2020.12.23 15:44:46
-
미국 학교급식의 영양표준은 의회에서 결정되는데 바뀔 때마다 중요 역할을 고기, 유제품, 과일, 가공곡물 등에 주고 채소와 통곡물 등에는 작은 역할만 부여했다. 이 표준은 10만개 학교의 140억 불 시장을 좌우한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이런 메뉴는 최근 영양학의 성과와 일치하지 않고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하버드대학의 영양학자들은 학교의 급식메뉴와 지구건강식단(영양가치를 최대화하면서도 온실가스 배출량과 물 소비를 최소화하는 식단)을 비교하였다. 급식메뉴에서 전통적으로 유제품을 강하게 권장되는 것에도 문제가 있었다. 대신에 엽록소와 해산물 섭취가 권장된다. 쇠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등 육류에 치중하면서 콩과 같은 저렴한 단백질원을 거의 공급하지 않는 것도 큰 문제이다. 지구건강식단은 온실가스 배출도 크게 줄여줄 뿐만 아니라 한 끼 평균 급식비를 현재 3.81달러의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현재 전국 여러 학교에서 ‘고기 없는 월요일’을 보내고 있고 채식주의 식단을 공급하고 있다.
번호
|
제목
|
닉네임
| ||
---|---|---|---|---|
63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63 | 2021.02.04 | |
63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5 | 2021.02.04 | |
63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18 | 2021.02.04 | |
63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7 | 2021.02.04 | |
63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67 | 2021.02.04 | |
63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77 | 2021.02.04 | |
63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55 | 2021.02.04 | |
63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62 | 2021.02.04 | |
63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74 | 2021.02.04 | |
62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986 | 2020.12.23 | |
62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629 | 2020.12.23 | |
62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571 | 2020.12.23 | |
62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554 | 2020.12.23 | |
62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916 | 2020.12.23 | |
62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853 | 2020.12.23 | |
62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877 | 2020.12.23 | |
62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897 | 2020.12.23 | |
62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840 | 2020.12.23 | |
62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860 | 2020.12.23 | |
√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875 | 202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