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생에너지 발전의 간헐성? 이젠 잊어라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3281, 2013.05.12 23:52:46
  • 재생에너지의 확대에 회의적인 사람들은 햇빛과 바람이 간헐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에 원전이나 화력발전과 같은 기저발전의 존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왔다. 하지만 독일의 엔지니어들은 이 같은 통념이 잘못된 것임을 입증해 주목된다.

     

    최근 독일 카셀 시 소재 프라운호퍼 풍력에너지시스템 기술연구소(IWES) 연구진에 따르면, 태양력, 풍력, 바이오가스 등을 효율적으로 연계하면 블랙아웃(정전)의 공포 없이 전력을 24시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기술이 적용될 경우 탈핵에너지 전환의 길을 가고 있는 독일로서는 획기적인 돌파구가 열리게 된다.

     

    Kombikraftwerk.png

     

    독일은 제조업 비중이 유럽에서 가장 높은 국가로서 산업분야에서 대용량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요한 나라이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원전과 화력발전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산업분야의 전력공급이 불가능하다는 견해를 밝혀 왔다. 독일에서는 조만간 햇빛과 바람, 바이오매스, 수력, 지열 등 재생에너지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이 국가 전체가 필요로 하는 전력량의 5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는 독일연방환경부의 지원으로 이루어졌으며 독일 내 모든 전력망이 재생에너지에 의해 운영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태양, 바람, 바이오가스와 같은 재생에너지원은 각각 장단점이 다르다. 이처럼 서로 다른 특성을 잘 결합하게 되면, 독일의 모든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수많은 소규모 발전소들을 전력망에 연결해 컴퓨터로 제어하게 되면 대용량 발전소 1기가 발전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Fraunhofer.png  

     

    이번 연구에서 엔지니어들은 25개의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연계해 정격출력 총 120메가와트의 전력을 생산했으며, 남는 전력은 전기자동차의 충전과 양수발전에 저장되어 수력발전에 사용되었다. 수많은 소규모 발전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면, 바람과 햇빛의 간헐적인 특성으로부터 발생하는 지역 간 차이는 전력망 내에서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과잉 생산된 전력은 열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열에너지 형태로 저장되어 나중에 사용될 수 있다.

     

    ‘콤비발전소 2’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번 연구의 목표는 소비자들에게 230V 및 50Hz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의 전력그리드는 소수의 대용량 발전사업자들 위주로 맞추어져 있지만, 새로운 시스템은 수십 개의 소규모 전원이 모여 구성되며 전압 안정화를 위한 부가적인 설비 및 규모가 연구될 예정이다. 이 연구는 지멘스 등과 같은 독일의 에너지 대기업과 산업계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지난 4월 8일부터 13일까지 개최된 하노버 무역박람회에서 소개되었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김미형 객원연구위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1/34806/962/trackback

댓글 3 ...

  • doitnow

    2013.05.14 09:06

    교통신호는 순간 이상이 있어도 어느 교차로의 문제로, 교통체증은 어느 도로의 한 지점에서의 문제로 해소 되거나 시간이 연장될 뿐이지만, 전기를 공급하는 능력과 사용량 간에 순간의 불균형은 전체 전력공급 체계의 마비를 초래하고, 아주 빠른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 지역이 정전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 여파는 상상 이상입니다. 전기 없이 이루어지는 것이 있는지 상상해 보세요. 시간이 길어지면 물도 못 먹고, 연료가 없는 자동차는 멈추고, 교통신호도 마비되고, 전철도 멈추고, 냉장고도 멈추고, 난방도 멈추고, 도시가스도 공급이 중단되어 라면으로도 식사가 불가능하고, 모든 연락 수단도 정지되고,  삶에 필요한 모든 기능이 정지되고,....   상상이 되시나요? 며칠을 살 수 있을까요?  그래서 아직은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영역이 작은 자연을 이용하는 신재생에너지는 부담이며, 통제를 위한 비용은 아직은 인간이 원하는 수준보다는 훨씬 큰 상태로 알고 있는데 너무 쉽게 표현이 되네요? 이러한 기사는 좀더 구체적인 수치를 이용한 보완자료가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원절약과 환경보호는 우리세대가 아닌 후세대를 위하여 반드시 지켜져야 하지만 오해가 없도록 자료를 제공하고, 모든 인류가 진심으로 동참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시기 바랍니다.

  • 박종권

    2015.07.09 10:55

    구러니까 지역분산형으로 발전을 확대해야 하는 것이지요. 이미 정부도 알고 지역분산형을 15% 이상 확대한다는 발표를 했지요.

    인구 1천ㅇ만 오스트리아도 재생에너지 지중이 68%, 인구 430만인 아이슬란드는 100% 자연에너지입니다.

    우리도 20-30%는 충분히 올릴수 있습니다.


  • 환경온도계

    2013.05.14 12:01

    현재 공급체계로 40%에 육박하는 원전 공급량을 재생에너지 조합발전량으로 최대한 늘린 후에 나머지 부족분과 여유율을 석탄발전으로 보완하며 온실가스는 ccr로 해결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위발전량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스마트 그리드 밖에 없다고 보며 그럴러면 지역단위로 소단위 에너지생산량을 최대화하는 것이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방법 중에 하나가 화석발전 부문인데 석탄으로 대체석유를 생산하다가 부족현상 발생시 전기를 바로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방식이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123 2013.12.17
2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050 2013.12.16
2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817 2013.12.16
2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607 2013.11.25
2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415 2013.11.24
2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179 2013.11.24
2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653 2013.09.12
2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492 2013.09.11
2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639 2013.09.11
2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553 2013.08.19
2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008 2013.08.19
2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765 2013.08.19
2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036 2013.07.27
2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390 2013.07.21
2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647 2013.07.03
2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000 2013.07.03
2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745 2013.05.29
2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037 2013.05.28
2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21 2013.05.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281 2013.05.1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