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위기와 성공회의 기후행동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49, 2024.06.12 15:33:12
  • ‘성공회’라는 이름이 낯설 수 있다. 성공회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시작으로 세계성공회의 기후연대와 기후행동 선언, 그리고 대한성공회의 기후행동을 소개하기로 한다. 이어서 필자가 머무르며 직접 경험한 캐나다 성공회교회 공동체의 생태적 실천에 대해서도 가볍게 소개하려 한다.  

     

    2.1 대한성공회 소개

     

    대한성공회(Anglican Church of Korea)는 기독교 개신교의 한 교파인 성공회의 한국 관구다. 16세기 종교개혁 때 생겨난 영국의 국교(國敎)라고 설명하면 사람들이 더 쉽게 이해한다. 종교개혁 이후 다양한 선교 활동으로 세계에 확산한 ‘Anglican Church’는 한자 문화권인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거룩하고 정의로운 교회’라는 의미로 성공회(聖公會)라는 교단 명칭을 사용한다.

    성공회는 길고 복잡한 역사를 통과하며 수많은 사람에게 이어져 왔기 때문에, 다양한 신앙 전통과 신앙의 개성을 무시하지 않으려 노력한다. 전 세계 164개국에 퍼져 있는 성공회는 세계적으로 단일한 교단이지만, 동시에 나라와 문화마다 다양한 색깔을 지닌다. 심지어 한 교회 안에서도 신앙과 신학의 흐름이 매우 다양하다. 다른 교단과 관련하여 성공회를 이해하기 쉽게 간단히 표현하라면, ‘교황 없는 천주교’, ‘교리에 너그러운 정교회’, ‘가톨릭 전통을 유지하는 개혁된 개신교’라고 할 수 있다. 

     

    1889년에 설립된 대한성공회는 현재 서울교구·대전교구·부산교구 등 총 3개 교구가 있고, 이 교구들을 합쳐 대한성공회라고 부른다.  

     

    2.2 세계성공회의 기후연대와 선언

     

    세계성공회 공동체는 오랫동안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져왔다. 1990년, 세계성공회협의회는 ‘선교는 개인의 구원에 그치지 않고 우리의 이웃인 생태환경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확장된 선교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동시에 이제까지 책임 있는 행동이 부족했던 점을 지적하였다. 1998년 각국의 주교들이 모여 지구 환경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연대를 시도하였고, 이 결과 2002년 세계성공회환경네트워크(Anglican Communion Environmental Network)를 조직하였다. 이 연대는 성공회 신자들이 개인적으로 그리고 공동체 생활에서 지속가능한 환경실천을 지원하도록 장려하고 정보를 제공한다.

     

    성공회는 공식적으로 “창조질서를 보존하여 지구생명의 회복과 유지에 헌신”하는 것이 성공회 공동의 선교적 실천 목표라고 선언하였다. 이 선언은 성공회 신자들에게 의미가 크다. 성공회 신자라면 누구나 이러한 사명을 당연하게 여기도록 교회 안에서 기후위기를 공동의 관심으로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성공회 신자는 기후위기를 인식하고 기후행동에 대한 자발적인 목소리를 내고 실천하기를 요청받는다.

     

    2-1.png

     

    세계성공회는 2024년 올해를 창조질서 회복의 원년으로 선언하고 기후위기 대응, 녹색 성공회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바탕에는 전 세계에 걸친 성공회 관구 주교들이 모여 공동의 관심사를 논의하는 람베스회의(Lambeth Conference)가 있다.

     

    특히 2022년 람베스회의에서 교회와 국제 사회가 마주한 문제를 다룬 청원문(Lambeth Call)을 발표하였다. 총 10가지 주제를 다루었는데 그 중 두 번째인 ‘환경과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청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2.png

     

     

    2.3 대한성공회 기후연대

     

    지난 2022년 전국의회 결의문을 통해 “기후위기 극복과 창조질서 보존을 교회의 우선적 선교 과제로 둔다”라고 선언한 대한성공회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비롯한 기독교 교단들, 그리고 다른 종교와 함께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연대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2050년까지 한국교회의 탄소배출량을 제로로 하는 한국교회2050탄소중립로드맵 방안을 함께 논의 중이다. 

     

    대한성공회 내부의 연대로는 사제들과 평신도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생명기후연대‘가 있다. 생명기후연대는 정기적 모임을 통해 각기 소속한 지역교회에서 생태 환경을 지키는 활동을 찾아내고 실천하도록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의 활동을 응원한다. 교회 내에서는 플라스틱 없는 성탄장식, 교회 탄소중립 캠페인, 기후 북토크 등을 주도하고, 외부적으로는 후쿠시마 방사능오염수 방류 반대와 삼척 석탄화력발전소 반대를 위해 목소리를 내고 있다.

     

    2.4 대한성공회 기후행동의 노력들

     

    환경선교사: 대한성공회는 각 교회에서 환경생태지킴이(환경선교사)를 선출하여 교회공동체가 함께 할 수 있는 기후행동을 신자들이 자발적으로 계획·실천하고 있다.

    창조절기: 대한성공회는 창조절기를 전국 교구가 지키게 한다. 창조절기는 주일마다 자연 환경을 주제로 묵상하는 5주의 기간이다. 영국에서는 2008년부터 지켰으며, 국내에서는 부산교구가 2년 전 시작했다.

    녹색교회: 대한성공회는 기독교환경운동연대와 함께 ‘녹색교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녹색교회들은 교회가 위치한 지역이 당면한 환경문제에 대해서 목소리를 내기도 하고, 자신들의 교회에서 교인들과 ‘탄소금식’,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채식하기’ 등을 통해 기후행동을 실천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2024 창조세계 회복을 위한 성공회 숲 만들기: 몽골 바양항가이(Baanghangai) 지역 사막화 방지를 위한 숲 만들기 사업을 푸른아시아와 함께 시작하였다. 특히 이 지원사업을 위한 극기헌금을 사순절 기간 모금했는데 이는 부활절을 기다리는 사순시기에 신앙과 지구생명의 회복을 연결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기후위기 걷기기도회: 기후위기 손팻말을 들고 대한성공회 주교좌성당이 위치한 서울 덕수궁 시청 앞과 정동길을 순례하며 걷기기도회를 하고 있다.

    이 밖에도 지역교회별로 멸균팩 모으기, 헌 옷 모으기, 도시농부, 해양쓰레기 정화 등 다양한 활동을 지역 특성에 맞게 펼치고 있다.

     

    2.5 성공회 기후연대의 특징

     

    성공회 기후연대는 세계 모든 교회 위에 중앙집권적 권한 행사 도구가 없다. 실질적인 공동의 관심사를 확인하고 함께 논의하는 과정을 거치는 협의체가 있을 뿐이다. 교회 안에서 모두에게 공통된 적절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결의안을 통해 제안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의견을 내는 주교들과 신자들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성공회 기후연대는 “서로 다른 그리스도교 공동체들을 획일화하지 않고, 그 다양성을 올바르게 사용함으로써” 더 큰 연대를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나아가 연대란 “친밀한 교류를 통해 각자에게 힘을 더해주기 위한 사랑의 활동”임을 강조한다. 

     

    2.6 캐나다 성공회교회의 Creation Care 활동들

     

    여기서 소개하는 성공회교회는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에 위치한 지역교회다. 1년 가까이 이 교회에 출석하며 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생태친화적 활동들을 지켜보고 직접 참여도 했다. ‘창조세계를 돌보는 것’을 크리스천의 사명으로 여긴다는 의미의 ‘Creation Care’ 팀은 이러한 활동을 주도하는 신자들의 자발적인 모임이다. 

     

    Creation Care팀은 새 관찰하기(Bird Watching), 곤충 관찰하며 걷기, 하이킹 등을 정기적으로 기획하여 다른 신자들을 생태친화적 활동에 동참시킨다. 긴 겨울이 지나고 5월이 되어 비로소 부드러운 바람이 불면 많은 사람이 녹색에 열광한다. 이때 Creation Care팀은 교인들에게 서로 씨앗과 모종 나누기를 격려하고, 벌과 나비를 위한 교회정원 가꾸기(Pollinator Garden)를 실천한다. 긴 겨울의 한중간에 ‘기후변화 스터디(기독교와 기후변화: 토론, 질문, 그리고 행동)’를 기획하여 교인들을 참여시켰다.

     

    비교적 짧은 시간이지만 이제까지 필자가 경험한 캐나다 성공회교회는 우리가 당면한 기후위기와 기후행동의 시급성을 전면에 내세우기보다는 창조세계에 대한 크리스천의 정체성과 사명을 강조하며 이를 자각하는 데 더 관심을 기울이는 듯하다.

     

    2-3.png

     

     

    참고문헌

    세계성공회 홈페이지 https://acen.anglicancommunion.org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홈페이지 https://www.cathedral.or.kr

    대한성공회 분당교회 홈페이지 https://www.skhbundang.or.kr

    세인트제임스성공회교회 홈페이지 https://www.stjamescalgary.com

    The Lambeth Calls 2023 

     

    윤수진 국토환경연구원 책임연구원

     

    원고료 후원 배너.jpg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1/1724113/7de/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9 2024.06.12
4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2 2024.06.12
4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3 2024.06.12
4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5 2024.03.20
4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36 2024.03.20
4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8 2024.03.20
42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10 2023.09.21
4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00 2023.09.21
4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01 2023.09.12
4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91 2023.09.12
4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45 2023.07.27
4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79 2023.07.27
4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09 2023.07.27
4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9 2023.07.27
4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33 2023.07.10
4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21 2023.05.19
4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05 2023.05.19
4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04 2023.05.19
4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51 2023.05.03
4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00 2023.03.2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