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행동연구소조회 수: 159, 2023.06.14 13:22:09
-
우선 우리나라에서 에너지를 가장 많이 쓰는 부문과 그 에너지원을 알기 전에 무슨 에너지를 말하는지 구분해야 합니다. 이 카드뉴스에서 다루는 에너지는 '최종에너지'입니다. 그럼 '최초에너지'라도 있다는 말일까요? 의미상으로는 최초에너지이지만 에너지 통계에서는 '일차에너지'라고 부릅니다. 1차에너지, 2차에너지, 최종에너지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I. 일차에너지: 자연 자원에서 ‘직접’(전환과정 없이) 채취하거나 얻은 에너지상품에 담긴 에너지
• 예: 원유, 석탄, 천연가스
II. 이차에너지: 일차에너지 상품을 변환하여 생산한 에너지 상품에 담긴 에너지
• 예1: 연료유(일차에너지)를 연소하여 생산한 전력
• 예2: 원유(일차에너지)를 가공한 석유제품
• 예3: 석탄(일차에너지)을 정제하여 탄소 함량을 높인 코크스
• 예4: 연료목(일차에너지)을 고온에서 구워 탄소함량을 높이고 수분함량을 줄여서 만든 숯
III. 최종에너지 소비(= 에너지 최종사용, end use): 소비자(최종사용자)가 원하는 활동을 하기 위해 더 이상의 전환이나 변환 과정을 가하지 않고 바로 쓸 수 있도록 에너지 상품을 전달하는 것
• 최종사용 단계에서는 에너지 상품이 ‘소비’되며, 더 이상 다른 형태로 변환되지 않는다고 가정함
• 최종에너지 소비의 대상은 일차에너지 상품이 될 수도 있고 이차에너지 상품이 될 수도 있음
• ‘최종사용’을 거치면 에너지 상품이 사라짐(에너지 사용의 “최종” 단계)
• 최종에너지 소비 부문: 산업(제조업, 광업), 건물(가정, 상업, 공공), 수송 등
일차에너지에서 최종에너지로 바뀌는 몇 가지 단계에서 변환/손실 등을 통해 쓸 수 있는 에너지가 상당히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2021년에 일차에너지를 12.6 EJ(exajoule, 10¹⁸ J; 12.7 EJ = 301 Mtoe) 소비했으나 손실로 인해 실제 최종소비 부문에서는 8.3 EJ(= 198 Mtoe), 즉 일차에너지의 약 66%밖에 쓰지 못했습니다(최종소비 중 비에너지소비 2.5 EJ[= 59 Mtoe]를 제외하면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5.8 EJ[= 139 Mtoe]임).
* 참고: 1 EJ = 1,000,000 TJ (terajoule; 10¹² J)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TFEC-ROK
참고자료: Dunlap, R. A. (2019). Sustainable Energy (2nd ed.). Cengage Learning.
번호
|
제목
|
닉네임
| ||
---|---|---|---|---|
2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45 | 2023.04.16 | |
1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47 | 2023.04.16 | |
1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19 | 2023.05.19 | |
1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60 | 2023.05.19 | |
1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28 | 2023.05.29 | |
√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59 | 2023.06.14 | |
1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21 | 2023.06.14 | |
1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91 | 2023.06.17 | |
1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82 | 2023.06.22 | |
1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94 | 2023.07.23 | |
1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78 | 2023.07.27 | |
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67 | 2023.07.27 | |
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60 | 2023.07.27 | |
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60 | 2023.07.27 | |
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20 | 2023.09.13 | |
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65 | 2023.09.21 | |
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34 | 2023.09.21 | |
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31 | 2023.09.26 | |
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69 | 2023.10.11 | |
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26 | 2023.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