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행동연구소조회 수: 320, 2022.12.24 13:37:12
-
2021년 12월 19일 종료한 생물다양성협약 제15차 당사국총회(CBD COP15)의 핵심 결과물이라 할 수 있는 포스트-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가 확정되면서 공식 명칭도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영문 약칭 GBF)로 정해졌습니다. GBF는 기존의 「생물다양성전략계획 2011–2020」을 확대계승한다고 볼 수 있는데, 거기 담겼던「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 20개에 대응하는 것이 「쿤밍-몬트리올 2030 글로벌 목표」 23개입니다.
우리나라는 2021년 기준으로 육지 보호지역이 약 17%, 해양 보호지역 이 2%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육지는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 11번(2020년까지 육지·내륙수역의 17%와 연안·해양의 10%를 보호지역[PAs, Protected Areas] 또는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s,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으로 보호)과 비교해서 육지는 겨우 목표를 달성했고 해양은 목표 달성이 요원한 상태입니다. 그런데 이번 쿤밍-몬트리올 글로벌생물다양성프레임워크 채택으로 2030년까지 육지와 해양 모두 30%를 보호지역 또는 OECM으로 지정해서 보호해야 하는데, 8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선진국의 일원으로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우리나라 정부와 국회가 긴박하게 법제를 정비하고 정책을 시행해야 하겠습니다.
참고: ICCA. (2021, 9월 19일). 기후변화로 악화하는 생물 멸종위기 vs. 자연생태계 보호구역 현황. ICCA 카드뉴스 #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Aichi-Kunming-Montreal-1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Aichi-Kunming-Montreal-2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Aichi-Kunming-Montreal-3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Aichi-Kunming-Montreal-4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Aichi-Kunming-Montreal-5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Aichi-Kunming-Montreal-6
번호
|
제목
|
닉네임
| ||
---|---|---|---|---|
34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31 | 2021.03.05 | |
33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31 | 2021.03.05 | |
33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96 | 2021.03.05 | |
33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05 | 2021.03.05 | |
33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67 | 2021.03.05 | |
33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3 | 2021.03.02 | |
33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25 | 2021.02.26 | |
33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27 | 2021.02.25 | |
33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02 | 2021.02.25 | |
33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88 | 2021.02.25 | |
330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28 | 2021.02.25 | |
329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91 | 2021.02.19 | |
328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12 | 2021.02.04 | |
327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318 | 2021.02.04 | |
326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01 | 2021.02.04 | |
325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259 | 2021.02.04 | |
324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484 | 2021.02.04 | |
323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149 | 2021.02.01 | |
322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76 | 2021.01.25 | |
321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837 | 2021.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