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맹그로브 숲, 타이거 새우, 그리고 지구온난화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36121, 2011.05.09 12:36:34
  • 맹그로브 숲의 파괴로 초래되는 온실가스 증가가 삼림파괴로 인한 온실가스 발생량의 약 10%에 달한다는 사실이 지난 4월 3일자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지 온라인 판에 실린 한 논문을 통해 발표됐다. 지구에 남아 있는 맹그로브 숲 면적은 열대우림 면적의 0.7%에 불과하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지구의 탄소수지(carbon balance)에서 맹그로브 숲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관련 기사: “갯벌과 맹그로브 숲이 열대우림보다 더 중요한 이유”).

     

    지난 반세기동안 맹그로브 숲은 양식장, 땔감채취, 연안개발 탓에 20-30% 가량 사라졌다. 개발 과정에서 파괴된 맹그로브 숲이 온실가스 증가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추산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이번 연구결과는 태평양과 인도양 연안의 25개 지역에서 맹그로브 나무와 땅 속의 토탄층(peatland) 탄소를 함께 측정한 최초의 연구인 셈이다.

     

    mangrove.jpg

    ⓒ wikipedia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 중 가장 놀라운 것은, 땅 속에 묻혀있는 탄소 양이 맹그로브 시스템 전체의 49-98%를 차지한다는 사실이다. 맹그로브 숲이 파괴되면 탄소순환 메커니즘이 심각한 손상을 입게 돼 나무뿐만 아니라 땅 속의 탄소가 모두 대기로 배출된다. 맹그로브 숲의 탄소 순환속도는 매우 빠른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맹그로브 숲이 파괴되면서 배출되는 탄소량은 연간 0.02-0.12 기가 톤(1기가=10억)이다. 이를 탄소 1톤당 20달러의 거래가격으로 환산하면, 우리 돈으로 약 4천억 원에서 2조4천억 원에 달한다.

     

    현재와 같은 속도라면 100년 후 맹그로브 숲은 모두 사라질 전망이다. 맹그로브 숲은 열대지방에서만 자라기 때문에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생태계는 아니다. 하지만 맹그로브 숲의 파괴에 우리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 식탁에 오르는 타이거새우 대부분은 맹그로브 숲을 파괴해 만든 동남아 새우양식장들에서 수입된 것이기 때문이다(한국해양연구원 전략개발실 류종성 선임연구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1/16883/291/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277 2012.06.21
2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896 2012.06.21
2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728 2012.07.10
22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4704 2012.07.25
2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943 2012.07.25
2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926 2012.08.22
2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328 2012.08.22
2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620 2012.10.07
2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775 2012.10.07
2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287 2012.11.06
2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438 2012.11.06
2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458 2012.11.28
2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181 2012.11.29
2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676 2012.12.09
2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546 2012.12.10
2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118 2013.01.10
2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485 2013.01.10
2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479 2013.01.22
2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595 2013.01.23
2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953 2013.01.23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