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 인식, 유색인종과 백인의 차이는?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9262, 2014.11.22 09:18:54
  • 미국에서 유색인종과 백인들의 기후변화 인식이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돼 주목된다. 미국의 퓨 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는 2007부터 대통령과 의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다루어야할 문제를 묻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해왔다. 흥미로운 것은 기후변화 대응을 최우선적인 과제로 삼아야한다는 응답자가 인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유색인종과 백인들 가운데 어느 쪽이 기후변화를 더 심각하게 받아들일까?


    climate-march.jpg

    출처: sustainable-economy.org


    아래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유색인종이 백인보다 기후변화를 더 중요한 정치적 이슈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흥미로운 점은 그 격차가 해를 거듭할수록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기후변화 대응을 최우선적인 과제로 삼아야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유색인종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백인들의 경우에는 2007년에 비해 10% 이상 감소했다.


    enten-datalab-globalwarmingracial-1.png

    출처: FIVETHIRTYEIGHT


    그렇다면 정치적인 성향에 있어서는 어떤 차이는? 민주당 지지자들은 공화당 지지자들보다 기후변화 대응이 시급하다고 생각하고 있을까? 그리고 소수인종들은 두 정당 중에 민주당 지지자들이 많은가? 이 질문들은 기후변화 인식에서 인종 간 격차를 해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민주당의 경우 유색인종 지지자의 50%가 기후변화가 최우선적으로 다루어야할 과제라고 답한 반면, 백인 지지자들은 37%만이 같은 생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인 평균과 마찬가지로 민주당 지지자 중에서 유색인종과 백인의 격차는 2007년과 2008년에 비해 커지고 있다(2007년과 2008년 조사 결과는 표본 수가 적어 평균값을 사용). 기후변화 대응을 우선적인 과제로 생각하는 백인 민주당 지지자들의 비율은 2007년과 2008년 46%에서 2013년 35%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유색인종 민주당 지지자들의 비율도 줄어들긴 했지만, 52%에서 47%로 차이는 5%에 불과했다. 



    enten-datalab-globalwarmingracial-2.png

    출처: FIVETHIRTYEIGHT


    여론 조사 결과가 주는 메시지는 명확하다. 백인들은 유색인종에 비해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에 회의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기후변화 운동의 지도자들은 백인들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그 사실이 미국인들의 의견 분포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송열음 해외연구원).




    연구소 후원 배너.gif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1/165046/5da/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4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7 2021.12.29
4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7 2021.09.24
4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5 2024.03.20
42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2 2022.11.22
4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1 2024.03.20
4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9 2022.11.20
4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4 2023.01.16
4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1 2024.03.20
4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5 2021.11.10
4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16 2022.11.20
4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35 2021.05.28
4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5 2022.10.31
4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0 2022.08.30
4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2 2023.03.22
4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87 2023.05.19
4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05 2023.07.27
4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06 2021.07.26
4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07 2022.02.10
4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10 2022.06.30
4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22 2022.09.05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