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CA 카드뉴스 #77] 잉여 인과 질소의 환경 유출로 악화하는 녹조현상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32, 2021.08.07 23:02:15
  • 녹조(綠潮, algal bloom)는 주로 여름에 강이나 호수에 남조류가 과다 성장하여 물의 색이 짙은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녹조가 발생한 하천수, 호소수는 남조류의 배출물질로 인해 간 독성이나 신경 독성이 생길 수 있으며 악취가 납니다.

    녹조는 인과 질소로 대표되는 양분의 과다 유입으로 대발생하고, 수온 상승으로 더 창궐합니다. 지구온난화로 수온은 날로 상승하는데,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인과 질소는 점점 더 많이 생태계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OECD에서 단위면적당 잉여 질소의 환경 유출량이 1위, 잉여 인의 환경유출량이 2위입니다. 양분의 과다 사용을 멈추지 않으면 녹조현상은 개선하기 어렵습니다. 지구온난화는 녹조를 더 심화합니다.

     

    참고자료: 환경부. (2014). 하천·호소 녹조 현상, 어떻게 생기고 어떻게 대비하나?/.

    Algal-Bloom-1.png

     

    Algal-Bloom-2.png

     

    Algal-Bloom-3.png

     

    Algal-Bloom-4.png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4/705094/202/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1 2021.11.10
2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1 2020.09.15
2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0 2017.01.20
2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6 2019.11.20
2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1 2020.07.07
2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8 2021.02.04
2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4 2022.11.20
2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2 2023.01.16
2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6 2022.08.30
2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6 2020.07.14
2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8 2022.12.24
2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8 2019.07.16
2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5 2019.10.21
2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4 2023.01.16
2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0 2020.09.14
2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2 2022.11.14
2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2 2021.04.30
2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0 2020.09.15
2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49 2023.01.30
2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45 2019.12.04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