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11/09 전기 자동차,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4397, 2010.11.25 13:23:31
  • 자동차가 달리는 중에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신기술이 개발됐다. HaloIPT와 Arup이라는 기업이 함께 개발한 충전 패드는 전기자동차가 위에 올라가기만 해도 자동적으로 충전이 된다. 이 패드에 사용된 전력전환유발장치(Inductive Power Transfer, IPT)는 전동칫솔에 흔히 사용되어 왔던 장치다. 이 장치를 응용해 만든 자석판 위에 전력수용장치(Receiving pad)를 장착한 전기자동차가 올라가면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T 시스템 모식도 (출처: HaloIPT 홈페이지)


    이 패드를 주차장에 설치한다고 가정해 보자. 충전을 위해 콘센트를 꽂을 필요가 없다. 약 25cm 폭의 주차선 위에 전기자동차 바퀴를 올려놓기만 하면 밤 새 충전이 된다. 그뿐만이 아니다. 아스팔트 도로에 패드를 깔면 약 40cm 두께도 통과하는 전기의 성질 덕분에 자동차 운행 중에도 계속 충전이 가능하다. HaloIPT에 따르면 최근 이탈리아와 네덜란드에서 성공적으로 시범 운행을 마쳤으며, 기존 플러그-인 충전 방식에 비해 추가비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T 시스템 장착 차량 운행 상상도(출처: HaloIPT 홈페이지)


    현재 전기자동차의 운행 가능거리는 충전 후 100마일(약 160km)정도이다. 하지만 이 기술이 도입되면 전기자동차는 패드가 깔려있는 곳이면 어디든 갈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디자인이 자유로워지고 차체의 무게가 감소한다는 이점도 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유선 전화에서 핸드폰과 와이파이로의 이동”과 같은 변화가 자동차에서도 일어날지도 모른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김진아 연구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5312/7d9/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63 2010.11.24
2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70 2010.11.23
2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02 2010.11.23
2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12 2010.12.08
2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15 2010.11.23
2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19 2011.01.17
2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50 2010.11.24
2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90 2010.11.23
2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93 2010.11.24
2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08 2010.11.23
2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10 2010.11.23
2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33 2010.11.23
2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41 2010.11.24
2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44 2010.11.24
2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052 2010.11.24
2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063 2010.11.24
2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00 2012.11.28
2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40 2012.07.10
2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60 2010.11.23
2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74 2011.08.23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