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8/07 지구온난화로 바다 식물플랑크톤 40% 감소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6667, 2010.11.25 09:08:03
  • 지난 100년간 바다에 사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40%나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지난 7월 29일 네이처지에 실린 한 논문에서 나온 과학적인 분석결과이다. 논문은 식물성 플랑크톤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바다 표층 온도의 상승을 꼽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다 표층의 온도가 올라가면 해저 바닥의 영양염이 풍부한 물이 표층으로 올라오지 못하는 성층화(stratification)가 발생하게 된다. 성층화의 좋은 예는 열대바다이다. 열대바다가 맑고 투명한 이유는 표층이 따뜻하기 때문에 성층화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영양염 공급이 차단되어 식물플랑크톤이 잘 자라지 못하기 때문이다.


    바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우리가 숨 쉬는 데 필요한 산소의 절반을 생산하고 있다. 대기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바다로 흡수한다는 점도 식물성 플랑크톤의 중요한 역할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바다 초식동물들의 먹이원으로서 해양생태계가 지탱할 수 있는 원초적인 에너지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전 세계 바다에서 1899년 이후 야외조사를 통해 측정된 자료와 1979년 이후 측정된 인공위성 자료 분석을 통해 얻었기 때문에 자료의 정확성은 매우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식물성 플랑크톤의 감소가 해양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가져올 지에 대해서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지구온난화로 해양생태계의 주춧돌 구실을 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감소하기 시작했다는 것은 주목해야할 사실임에 틀림없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류종성 해외연구위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5117/891/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6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7826 2016.03.21
36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704 2013.02.25
36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571 2011.04.11
36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070 2016.04.21
36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639 2011.05.31
36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479 2011.10.05
36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126 2016.04.21
36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034 2016.05.18
35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775 2017.04.27
3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675 2011.03.08
3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591 2012.12.04
3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268 2013.04.23
3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070 2010.11.23
3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967 2011.06.13
3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738 2010.11.24
3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360 2011.07.25
3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187 2012.02.14
3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139 2012.02.14
3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067 2010.11.25
3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051 2012.11.28
태그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