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4/06 나일 델타의 운명 기후에 달렸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1638, 2010.11.24 23:43:58
  • 최근 이집트 농림부 장관은 해수면 상승으로 21세기 말경 600만 명의 이집트인들이 노숙자로 내몰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집트 해안도시 알렉산드리아에서 열린 UN환경회의에서 농림연구원 함디 알 후세이니 칼리파(Hanmdi al-Husseini Khalifa)는 이집트의 나일강 델타지역을 수위 상승으로 가장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될 지역으로 지목했다. 수위가 1m 상승할 경우 약 4,500km2의 나일 델타가 잠식되고 600만 명가량이 이주해야하는 상황을 맞게 된다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뉴사우스웨일즈 대학이 발간한 2009년 보고서에 따르면 수위는 2100년까지 1m 이상 상승할 수 있다. 2007년에 있었던 기후변화에 관한 미국의 학제간 연구결과에서도 동 기간 동안 수위가 0.5m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었다.


    하지만 모래언덕과 같은 자연적인 유산들이 이집트 해안지역을 해수면 상승으로부터 보호해 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모래언덕이 1차적인 방어선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이집트 연안에 호수를 확장하거나 바다에 모래를 보강하는 방안, 지하에 벽을 쌓는 방식 등이 제시되기도 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지중해에서 공급되는 지하수의 염도가 증가하고 있는 사실이다. 이는 농사에 큰 타격을 주어 곡물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할지도 모른다. 실제로 UNEP는 아랍지역에서는 기후변화로 곡물가격이 치솟는 최악의 상황에 놓일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2008년 나일 델타 지역의 마할라 알-코브라 시에서 폭동이 발발한 이후, 세계 곡물가격은 120%나 상승했던 적이 있다. 유사한 상황은 아이티, 방글라데시, 모잠비크에서도 발생했다. 특히 이집트가 곡물가격 상승에 민감한 이유는 정부가 빵 보조금으로 사용하는 예산이 5.5%인데, 아랍권을 통틀어 경작할 수 있는 땅은 4%에 불과하기 때문이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승민 객원연구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4880/1be/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5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76 2019.10.24
5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98 2019.10.24
5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9 2019.08.16
5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33 2019.08.16
5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2 2019.08.16
5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5 2019.08.16
5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48 2019.08.16
5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0 2019.08.16
5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80 2019.08.16
5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5 2019.07.17
5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43 2019.07.17
52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5 2019.07.17
5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 2019.07.17
5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0 2019.07.17
5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5 2019.07.17
5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2 2019.07.17
5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7 2019.07.17
5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3 2019.06.13
5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8 2019.06.13
5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39 2019.06.13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