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9/11/30 중국 2020년까지 CO2 최대 45%(탄소집약도 기준) 감축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8728, 2010.11.24 11:12:41
  • 코펜하겐 기후회의에 참석하는 중국 원자바오 총리는 2020년까지 GDP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 수준의 40~45%까지 감축하겠다는 약속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가가 공식적으로는 처음 발표하는 감축목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중국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고도성장으로 적어도 수십 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이처럼 탄소집약도를 낮추려는 목표가 실현되면 탄소배출량 증가속도가 둔화되고 재생가능에너지 비중이 더욱 확대될 것이다. 또한 노후 발전소들을 보다 효율적인 발전소로 대체하고 이산화탄소 포집·저장기술(CCS)의 발전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탄소세 도입을 둘러싼 논의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도 있다.


    NGO들은 일단 중국의 발표를 환영하고 나섰다. WWF의 킴 카스텐센은 “중국이 2020년까지 탄소집약도를 줄이는 구체적인 내용을 만들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라고 평가했다. UN도 중국이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는 국제적인 노력에 동참할 것이라며 환영 의사를 밝혔다.


    반면, 유럽과 미국은 현재의 에너지효율향상으로도 중국은 충분히 50% 미만의 탄소집약도 개선을 이룰 수 있다며 좀 더 과감한 목표를 기대했다. 영국정부는 중국의 첫 감축목표 발표가 ‘중요한 시작’임에 틀림없으며, 다른 개도국들도 배출전망치(BAU) 대비 의미 있는 감축행동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선진국들의 기술이전과 재정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중국의 감축목표는 좀 더 빨리 달성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번 코펜하겐 기후회의에는 세계 최대의 온실가스배출국가인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과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가 참석 의사를 밝히면서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준관 선임연구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4349/b0f/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5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59 2019.10.24
5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62 2020.01.31
5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69 2019.12.26
5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2 2021.03.12
5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4 2018.07.11
5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7 2021.02.04
5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3 2018.07.11
5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5 2018.08.02
5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25 2018.06.12
5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52 2018.08.02
5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70 2018.08.02
5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76 2018.06.12
5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87 2019.12.26
5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08 2018.06.12
5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11 2019.01.30
5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15 2018.06.12
5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1 2019.10.24
5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6 2018.09.18
5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7 2019.12.26
49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8 2019.12.26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