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포식자들이 사라지면 이산화탄소가 증가한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5657, 2013.03.12 01:04:48
  • 육식동물의 개체수가 감소하면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양이 증가한다. 육식동물의 수가 줄면 먹이가 되는 초식동물이 증가해 광합성을 하는 식물들을 모조리 먹어치우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은 그동안 육상생태계에서는 잘 알려져 있었지만 바다나 호수에서는 입증된 적이 없었다. 

     

    1000px-Carbon_cycle-cute_diagram_svg.png

     

    최근 캐나다 연구팀이 이 가설을 증명하는 개가를 올렸다. 캐나다와 코스타리카에 인공연못을 설치하고 육식동물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호수에서도 육식동물이 감소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얻은 것이다. 이들의 연구결과는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에 실렸다.

     

    그렇다면 바다는 어떨까? 바다에서는 무분별한 남획 탓에 주로 잡히는 어종이 대형 육식어종에서 소형 초식어종으로 바뀐 지 오래다. 바다에서 상위 포식자들이 사라지면 초식어종이 증가해 식물플랑크톤이 감소하고 광합성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기후변화를 생물다양성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는 얘기다(안양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류종성 교수).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33823/b4c/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338 2011.02.21
2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339 2011.02.15
2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750 2011.02.15
2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078 2011.02.06
2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319 2011.02.06
2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858 2011.01.25
2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066 2011.01.24
2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19 2011.01.17
2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965 2011.01.14
2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42 2011.01.11
2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633 2011.01.11
2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053 2011.01.11
2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037 2011.01.10
2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61 2011.01.10
2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790 2011.01.10
2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226 2011.01.10
2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19 2011.01.10
2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159 2011.01.10
2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674 2010.12.08
19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355 2010.12.08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