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포식자들이 사라지면 이산화탄소가 증가한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5658, 2013.03.12 01:04:48
  • 육식동물의 개체수가 감소하면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양이 증가한다. 육식동물의 수가 줄면 먹이가 되는 초식동물이 증가해 광합성을 하는 식물들을 모조리 먹어치우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은 그동안 육상생태계에서는 잘 알려져 있었지만 바다나 호수에서는 입증된 적이 없었다. 

     

    1000px-Carbon_cycle-cute_diagram_svg.png

     

    최근 캐나다 연구팀이 이 가설을 증명하는 개가를 올렸다. 캐나다와 코스타리카에 인공연못을 설치하고 육식동물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호수에서도 육식동물이 감소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얻은 것이다. 이들의 연구결과는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에 실렸다.

     

    그렇다면 바다는 어떨까? 바다에서는 무분별한 남획 탓에 주로 잡히는 어종이 대형 육식어종에서 소형 초식어종으로 바뀐 지 오래다. 바다에서 상위 포식자들이 사라지면 초식어종이 증가해 식물플랑크톤이 감소하고 광합성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기후변화를 생물다양성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는 얘기다(안양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류종성 교수).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33823/0a9/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40 2017.11.14
3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81 2017.11.20
3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95 2018.04.24
3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37 2017.11.17
3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61 2017.11.17
3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75 2014.01.25
3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97 2020.11.19
3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34 2020.11.19
3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44 2014.02.17
3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92 2020.11.19
3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27 2020.10.12
3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37 2020.10.12
3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69 2010.11.23
3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77 2020.10.12
3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83 2020.09.02
3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89 2020.10.12
3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00 2020.11.19
3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05 2020.09.02
3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07 2020.10.12
3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11 2020.10.1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