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항공산업과 맞먹는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3795, 2013.02.04 13:00:23
  • 인터넷과 통신활동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온실가스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인터넷, 비디오, 음성 및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공급하는 정보통신기술이 매년 8억3천만톤 이상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연구결과 요약보기). 이는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의 약 2%를 차지해 항공분야의 온실가스 배출과 맞먹는 수준이다.
     

    ict.jpg

     


    이는 호주 멜버른 대학 에너지효율통신센터(Centre for Energy-Efficient Telecommunications, CEET)와 벨연구소(Bell Labs)가 수행한 연구 결과로서, 최근 과학저널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 발표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정보통신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0년까지 2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 모델들은 ICT 분야의 탄소배출량 추정을 정확하게 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트래픽, 에너지 사용, 이산화탄소 배출 등을 고려한 새로운 모델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연구진은 개발한 모델에 힘입어 ICT 분야의 탄소배출량 감축 방안으로 효율적인 동력 이용, 에너지 저감 장비의 설치, 신재생에너지 사용 등을 제안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1년과 2012년에 각각 3%, 2.6% 증가율을 보였다. 2012년 배출량은 356억톤에 달했는데, 이런 추세로 가면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에 견줘 2℃ 이내로 제한한다는 국제사회가 목표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인터넷 트래픽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이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통신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설들의 온실가스 배출이 중요한 이슈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 요구가 점점 더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김미형 객원연구위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33016/04f/trackback

댓글 1 ...

  • onestone

    2013.02.13 12:50

    지히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중 30%가 핸드폰을 들고 무언가에 심취하고 있는 모습이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장거리운전을 하는 내내 핸드폰을 사용하게 만들면서
    한쪽에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자고 시민광고를 하고 있다. 한통화에 50-60g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면
    시민켐페인중 핸드폰 짧게, 불필요한 통ㄴ화 자제 운동이 우선이 아닐까?
    가정집 한등끄기보다 우선해야할 시민운동이다.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6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734 2015.05.12
6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608 2010.11.23
6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555 2012.06.01
6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434 2010.11.25
6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412 2011.02.28
6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382 2010.11.23
6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346 2012.01.09
6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284 2010.11.24
6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255 2012.11.06
6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252 2013.09.11
6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198 2011.04.11
6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187 2010.11.24
6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165 2011.06.13
6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087 2013.12.16
6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064 2011.01.10
6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060 2011.07.20
6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988 2011.03.29
6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949 2010.11.24
6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898 2010.11.25
6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851 2015.05.1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