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음식의 절반이 먹기도 전에 쓰레기통으로 간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4608, 2013.01.23 15:10:22
  • 매년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음식의 절반가량인 약 20억톤이 식탁에 오르기도 전에 버려지는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 1월 10일 영국기계엔지니어학회(IMechE)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그 주범은 '원 플러스 원'(buy-one-get-one free) 상품, 불필요할 정도로 엄격하게 제한된 유통기한, 그리고 겉으로 보기에 완벽한 음식(cosmetically perfect food)에 대한 서구 소비자들의 요구 등이었다. 이러한 낭비적인 소비문화에다 뒤처진 생산·유통과정의 보관기술이 합세해 음식의 절반을 쓰레기로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food waste.jpg

     

    보고서는 식량의 30~50% 혹은 12~20억톤에 달하는 식량이 요리되기도 전에 버려진다고 밝혔다. 영국에서 생산되는 야채 및 작물의 30%는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외적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이유로 수확조차 되지 않는다. 또한 유럽과 미국에서 소비되는 음식의 약 50%는 소비자들에 의해 쓰레기통으로 향하고 있다.

     

    식량 낭비는 간접적으로 다른 자원의 낭비를 부르기도 한다. 세계적으로 약 550m³의 물이 소비자에게 전해지지 못하는 작물들을 키우는 데 쓰인다. 게다가 육류 생산은 같은 양의 야채 생산에 비해 20~50배의 물을 필요로 한다. 2050년에는 식량 생산에 필요한 물의 양이 10~13조m³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는 현재 전 인류가 사용하는 물의 양보다 2.5~3.5배 많은 양이다.

     

    따라서 식량 낭비는 전 지구적인 물 부족 현상을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IMechE에 따르면, 소비되기도 전에 버려지는 식량의 양을 줄여 현재보다 60~100% 더 많은 식량을 공급하게 되면 농지와 에너지, 물 등도 동시에 절약할 수 있다. 식량 낭비는 곧 땅과 물, 그리고 에너지 자원의 낭비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보고서가 내린 결론이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신한슬 객원연구원).

     

     관련 기사 보기 : 음식물 쓰레기의 정치경제학 - 선진국과 가난한 나라의 차이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1/32563/544/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797 2010.11.22
3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740 2010.11.22
3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657 2010.11.22
3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099 2010.11.22
3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123 2010.11.22
3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285 2010.11.22
3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857 2010.11.22
3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990 2010.11.22
3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227 2010.11.22
3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057 2010.11.22
3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702 2010.11.22
3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288 2010.11.22
3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675 2010.11.22
3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693 2010.11.22
3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016 2010.11.22
37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955 2010.11.22
37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685 2010.11.22
37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945 2010.11.22
37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814 2010.11.22
37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888 2010.11.2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