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8/24 손 설거지와 식기세척기, 탄소발자국의 승자는?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21442, 2010.11.22 22:48:04
  • 손 설거지와 식기 세척기 사용 중 어떤 방법이 더 친환경적일까? 이 문제는 손 건조기와 종이 타월을 둘러싼 논란만큼이나 오래된 이슈에 속한다. 최근 영국에서는 두 가지 설거지 방식의 탄소배출량을 실증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설거지 방식은 음식문화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영국에서 조사된 내용을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가 참고할만한 것도 적지 않아 그 결과를 소개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www.asko.org.nz


    ● 찬물로 손 설거지 : 탄소 거의 무배출. 하지만 청결상태는 좋지 못함
    ● 물을 절약하면서 따뜻한 물로 손 설거지 : 탄소 배출량 540g
    ● 55°C 따뜻한 물로 식기세척기 사용 : 탄소 배출량 770g
    ● 65°C 따뜻한 물로 식기세척기 사용 : 탄소 배출량 990g
    ● 과도하게 따뜻한 물을 사용한 손 설거지 : 8,000g 탄소 배출 :


    위의 자료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물을 절약하면서 따뜻한 물로 하는 손 설거지는 식기세척기 사용 보다 더 친환경적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영국인들의 대다수는 가스보일러로 데운 온수로 손 설거지를 하기 때문이다. 반면 식기세척기는 전기에너지로 물을 데운다. 가스보일러는 효율이 90% 이상이지만, 전기에너지는 생산과 송전 과정에서 상당히 많은 에너지가 손실되어 탄소 배출 면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손 설거지를 하더라도 더운 물을 틀어놓은 채 설거지를 하게 되면 탄소발자국은 식기세척기 사용을 능가하게 된다. 또한 물을 절약하는 방식의 손 설거지는 위생과 시간 면에서 불리하다. 손 설거지를 한 식기에는 박테리아가 400배나 더 많이 잔류하며, 시간도 4배가량 더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식기세척기 사용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속형 에너지 절약 모델을 선택하고 식기를 모아 세척하며 에너지소비가 적은 밤 시간대에 사용한다면 손 설거지보다 장점이 더 많을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식기세척기를 이미 구입한 사람이라면 유의해야할 점이다. 이번 조사에서 물 사용량과 세제 사용량은 물을 가열할 때 소비되는 에너지에 비해 무시할 정도이기 때문에 고려되지 않았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김미형 객원연구위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1/3149/64b/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956 2012.06.01
3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954 2011.10.05
3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866 2014.12.15
3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698 2010.11.22
3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520 2011.05.10
3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492 2010.11.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442 2010.11.22
3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295 2015.08.02
3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260 2014.12.14
3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219 2015.05.13
3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073 2012.07.25
3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920 2011.12.12
37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873 2015.05.13
37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852 2010.11.22
37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850 2011.02.12
37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841 2010.11.22
37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836 2011.03.07
37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833 2011.05.31
37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709 2011.02.21
37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607 2011.11.30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