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에너지의 ‘진짜 얼굴’을 다룬 영화 ‘고요히 파국으로’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5358, 2012.10.07 03:38:54
  • Friedlich-Katastrophe.jpg


    독일에서 첫 번째 핵발전소의 시험 가동이 시작된 것은 1960년 11월이다. 그때부터 탈원전을 선언한 지금까지 해결되지 않고 남아있는 골칫거리가 있다. 바로 핵폐기물 문제다. 1971년 독일 작가 홀거 스트롬은  ‘고요히 파국으로(Friedlich in die Katastrophe)’라는 제목의 책을 펴냈다. 책이 출간된 지 40년이 넘은 지금 탈핵 실험이 한창인 독일에서는 같은 제목의 영화가 극장에서 개봉된다. 





    방사성물질의 유출, 특히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에서처럼 원자로가 녹아내리는 노심용해(Meltdown) 외에 가장 큰 큰 문제는 핵발전소가 가동되면서 늘어나는 핵폐기물들이다. 안전한 핵폐기물 처분장이 없다는 것도 문제지만 바다에 버려진 핵폐기물도 많다. 현재 지구의 바다 속에는 핵발전소를 가동하고 있는 국가들로부터 버려진 핵폐기물 용기 약 20만개가 녹슬어가고 있다. 

    핵에너지 옹호자들은 재생가능에너지에 주는 보조금이 부당하다고 불만을 터뜨린다. 하지만 이들은 핵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이야말로 수백억 유로가 넘는 정부 보조금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망각하고 있다. 정부 보조는 대부분 시민들의 호주머니로부터 나오는 것이다. 같은 보조금이라도 지붕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면 시민들이 경제적인 이득을 볼 수 있지만, 핵에너지에 주는 보조금은 고스란히 소수의 거대한 원자력회사의 수중으로 흘러갈 뿐이다. 

    독일경제연구소(DIW)의 조사에 따르면, 1956년에서 2006년까지 독일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핵에너지 연구와 기술개발에 지출한 비용은 최소 500억 유로(약 80조 원)에 이른다. 여기에는 핵폐기물 운반이나 핵발전소 해체비용 등은 계산에서 제외된 것이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은선 연구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29376/fab/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56 2018.06.12
2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82 2018.06.12
2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74 2018.07.11
2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1 2018.07.11
2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24 2018.07.11
2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6 2018.07.11
2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4 2018.07.11
2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67 2018.07.11
2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7 2018.07.11
2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0 2018.07.11
2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2 2018.07.11
2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1 2018.07.11
2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55 2018.08.02
2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50 2018.08.02
2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94 2018.08.02
2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49 2018.08.02
2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39 2018.08.02
2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1 2018.08.02
2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4 2018.08.02
2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1 2018.08.0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