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1인당 생태발자국 세계 149개국 중 29위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21966, 2012.06.01 13:11:33
  • 세계야생동물기금(WWF)이 최근 발표한 ‘2012 살아있는 지구 보고서(Living Planet Report 2012)’에 따르면, 2008년 우리나라 1인당 생태발자국은 4.6 헥타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 149개국 가운데 29번째로서, 세계 평균 2.7 헥타르에 비해 약 1.7배 높고 독일(30위, 4.53 헥타르)과 일본(37위, 4.14 헥타르)을 앞지른 수준이다. 북한의 1인당 생태발자국은 1.28 헥타르로 조사돼 세계 113위를 기록했다.

     

     

    그림2.jpg

    국가별 1인당 생태발자국 순위(1-40위)

     

    1인당 생태발자국(ecological footprint)은 각국 국민 한사람의 일상생활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토지 면적으로 환산한 수치다. 높을수록 그만큼 생태계 훼손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1위부터 3위는 카타르(11.68 헥타르), 쿠웨이트(9.72 헥타르), 아랍에미리트(8.44 헥타르) 등 중동의 산유국들이 차지했다. 미국과 중국은 각각 5위(7.19 헥타르)와 72위(2.1 헥타르)를 기록해 큰 격차를 보였다. 

     

    세계야생동물기금에 따르면, 현재 인류가 사용하는 자원 소비 규모는 지구 1.5개가 있어야 지속될 수 있는 양이다. 현재의 추세가 지속된다면 인류는 2030년에 지구 2개, 2050년에는 지구 3개를 필요로 하게 된다. 전 세계 생태발자국은 1966년 이래 약 두 배 정도 증가했다. 잘사는 나라들과 가난한 나라들의 생태발자국은 각각 5.6 헥타르, 1.14 헥타르를 기록해, 그 격차가 약 5배 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 생태발자국.jpg

     

    우리나라 1인당 생태발자국(gha: 글로벌 핵타르)

     

    우리나라의 1인당 생태발자국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어업 세계 11위, 탄소배출 18위(국가 총량은 세계 7위), 토지개발 48위, 농업 53위, 산림 82위, 축산업 83위로 분석됐다. 높은 생태발자국의 원인이 주로 어업과 탄소배출량에서 비롯된 것임을 말해준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최도현 연구원).

     


엮인글 3 https://climateaction.re.kr/news01/26755/d3d/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1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825 2011.08.01
1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136 2011.05.09
1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174 2011.07.26
1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855 2011.06.27
1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058 2011.07.26
1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799 2012.10.07
1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233 2011.05.02
1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959 2015.08.02
1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689 2013.09.12
1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278 2017.04.28
1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245 2011.05.17
1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4246 2011.03.20
1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535 2010.11.22
1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624 2011.01.25
1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501 2013.03.09
1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470 2011.10.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966 2012.06.01
1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703 2010.11.22
1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496 2010.11.22
1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351 2014.12.14
태그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