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의 앞당겨진 개화시기 과소평가됐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6712, 2012.05.07 17:35:24
  • 최근 학술지 네이처(Nature)지 웹사이트에 실린 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식물의 개화 시기는 지금까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앞 당겨진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먹이사슬과 지구 생태계 전반에 연쇄효과(knock-on effects)를 일으킬 수 있는 수준이어서 과학자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spring-flowers.jpg

     www.wallpapersland.net


    4개 대륙에 서식하는 식물 1,634 종의 라이프사이클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개화 속도는 8.5배, 잎의 생장 속도는 4배 정도 과소평가되어 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기온 상승이 식물의 개화시기를 앞당기고, 개화시기의 변화는 꽃가루를 옮기는 곤충들의 시간표에 혼란을 줌으로서 먹이사슬 전반에서 불일치(mismatch)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1900년 이후 지구 평균기온은 0.8℃가량 상승했으며 1979년 이후 매 10년마다 0.2℃ 가깝게 증가하고 있다. 이대로 간다면 가뭄, 홍수, 해수면 상승은 물론 동식물들의 고유한 시간표가 헝클어지는 것은 시간문제인 것으로 보인다(기후화행동연구소 김미형 객원연구위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26461/d12/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5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548 2010.11.25
5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496 2011.05.02
5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466 2010.11.23
5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408 2011.07.12
5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368 2014.11.22
5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345 2010.11.24
5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332 2012.10.07
5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317 2010.11.25
5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292 2010.11.23
5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222 2010.11.29
5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213 2011.10.05
5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206 2010.11.25
5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204 2012.06.01
5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129 2010.12.08
5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085 2011.03.01
5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074 2012.07.25
5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071 2013.05.06
5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049 2010.11.23
5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977 2013.02.24
5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965 2011.01.14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