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병옥의 생태이야기] 맹그로브 숲 파괴하는 수입 새우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5250, 2012.05.07 14:56:23


  • PIA15145_modest.jpg
    설명 : 온두라스. 오른쪽이 맹그로브 상태를 유지했던 1986년 위성사진, 왼쪽이 새우양식장으로 변해버린 2009년 위성사진.


    [안병옥의 생태이야기]맹그로브 숲 파괴하는 수입 새우

    새우는 한 번에 수십 만 개의 알을 낳는다. 그래서 선조들은 새우를 생명력이 넘치는 해산물로 여겼던 모양이다. 옛날에는 며느리가 시집오면 새우처럼 자손을 많이 낳으라는 뜻에서 새우 알을 먹였다. 장수의 상징이었던 새우는 한방에서 치료제로 쓰이기도 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은 새우가 회충을 없애주며 입안이 헐거나 몸이 가려울 때 효험이 있다고 전하고 있다. 새우가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부드럽고 달짝지근한 맛 때문이다. 미식가들은 머리 바로 아래 부위인 새우골의 맛을 최고로 친다.

    (하략)

    (2012.5.3, 경향신문)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4/26355/40f/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7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2 2022.04.29
7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92 2022.05.06
6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7 2022.05.06
6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1 2022.05.06
6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0 2022.05.06
6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97 2022.05.11
6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8 2022.06.03
6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9 2022.06.08
6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3 2022.06.09
6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6 2022.06.17
6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5 2022.06.24
6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9 2022.06.30
5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3 2022.06.30
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3 2022.06.30
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9 2022.07.01
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5 2022.07.01
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89 2022.08.21
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0 2022.08.30
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6 2022.08.30
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7 2022.08.30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