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병옥의 생태이야기] 맹그로브 숲 파괴하는 수입 새우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5250, 2012.05.07 14:56:23


  • PIA15145_modest.jpg
    설명 : 온두라스. 오른쪽이 맹그로브 상태를 유지했던 1986년 위성사진, 왼쪽이 새우양식장으로 변해버린 2009년 위성사진.


    [안병옥의 생태이야기]맹그로브 숲 파괴하는 수입 새우

    새우는 한 번에 수십 만 개의 알을 낳는다. 그래서 선조들은 새우를 생명력이 넘치는 해산물로 여겼던 모양이다. 옛날에는 며느리가 시집오면 새우처럼 자손을 많이 낳으라는 뜻에서 새우 알을 먹였다. 장수의 상징이었던 새우는 한방에서 치료제로 쓰이기도 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은 새우가 회충을 없애주며 입안이 헐거나 몸이 가려울 때 효험이 있다고 전하고 있다. 새우가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부드럽고 달짝지근한 맛 때문이다. 미식가들은 머리 바로 아래 부위인 새우골의 맛을 최고로 친다.

    (하략)

    (2012.5.3, 경향신문)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4/26355/fd6/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42 2020.04.24
2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56 2020.04.24
2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3 2020.04.16
2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0 2020.04.16
2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7 2020.04.02
2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7 2020.04.01
2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3 2020.03.27
2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63 2020.03.27
2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2 2020.03.27
2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4 2020.03.27
2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9 2020.03.27
2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32 2020.03.09
2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6 2020.03.05
2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0 2020.03.05
2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8 2020.03.04
2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2 2020.03.02
2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57 2020.03.02
2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5 2020.02.25
2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3 2020.02.24
2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6 2020.02.20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