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병옥의 생태이야기] 맹그로브 숲 파괴하는 수입 새우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5250, 2012.05.07 14:56:23


  • PIA15145_modest.jpg
    설명 : 온두라스. 오른쪽이 맹그로브 상태를 유지했던 1986년 위성사진, 왼쪽이 새우양식장으로 변해버린 2009년 위성사진.


    [안병옥의 생태이야기]맹그로브 숲 파괴하는 수입 새우

    새우는 한 번에 수십 만 개의 알을 낳는다. 그래서 선조들은 새우를 생명력이 넘치는 해산물로 여겼던 모양이다. 옛날에는 며느리가 시집오면 새우처럼 자손을 많이 낳으라는 뜻에서 새우 알을 먹였다. 장수의 상징이었던 새우는 한방에서 치료제로 쓰이기도 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은 새우가 회충을 없애주며 입안이 헐거나 몸이 가려울 때 효험이 있다고 전하고 있다. 새우가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부드럽고 달짝지근한 맛 때문이다. 미식가들은 머리 바로 아래 부위인 새우골의 맛을 최고로 친다.

    (하략)

    (2012.5.3, 경향신문)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4/26355/ba7/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7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9 2024.01.04
27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7 2016.10.24
26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4 2018.06.12
26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4 2016.08.16
26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0 2019.07.16
26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95 2016.12.26
26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8 2023.07.27
26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4 2021.01.04
26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77 2019.11.04
26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69 2024.03.27
26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63 2021.09.24
26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57 2023.05.19
25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32 2020.03.09
2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25 2017.01.31
2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24 2016.11.17
2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23 2019.07.24
2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20 2021.02.04
2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17 2016.11.08
2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15 2020.09.27
2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14 2020.10.11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