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광과 생물학이 만나 부탄올을 만든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0597, 2012.04.23 13:49:42
  • 최근 미국의 연구진이 고안한 ‘바이오반응기’라는 장치는 유전공학적으로 변형된 미생물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가솔린과 같은 밀도의 액상 연료 형태로 저장한다. 이 장치를 활용하면 식물의 광합성을 이용해 바이오연료를 얻는 것 보다 더 효율적으로 태양에너지로부터 연료를 얻을 수 있다. ‘통합 전기-미생물 바이오반응기(integrated electro-microbial bioreactor)’라는 이름의 이 반응기를 소개한 논문은 지난 3월 30일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Bioreactor.jpg

    Ralstonia eutropha라는 토양 미생물은 번식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얻기 위해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이미 이 미생물은 단백질 대신 플라스틱을 만들어내는 등 산업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바이오반응기에서 만들어지는 액상 연료 부탄올은 수송연료로 사용 할 수 있다. 생물반응기는 태양전지판에서 전기를 얻는다. 전류는 물과 이산화탄소, 토양 미생물로 채워져 있는 반응기의 전극으로 흐른다. 전기는 이산화탄소를 포름산염으로 변환시키는 화학반응을 일으키는데, 이때 수소이온은 미생물에 의해 불용성 수소 대신 에너지원으로 이용된다.

     

    이 방법의 이점은 가장 성능이 뛰어난 배터리에 견줘 50배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고밀도 액상 연료를 얻는다는 데에 있다. 식물도 태양에너지를 흡수해 탄수화물 분자 형태로 저장하기 때문에 식량이나 연료로 사용될 수 있지만 문제는 효율이다. 예컨대 에탄올 옥수수는 흡수한 태양에너지의 0.2%만을 연료로 변환한다. 태양광 셀은 광자의 15%를 전기로 변환할 수 있지만, 얻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진들에 따르면 생물반응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경우 이론적으로 태양에너지의 9%를 저장 가능한 연료로 변환시킬 수 있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김미형 객원연구위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25820/99c/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3 2019.06.13
2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7 2019.07.17
2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2 2019.07.17
2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5 2019.07.17
2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0 2019.07.17
2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 2019.07.17
2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5 2019.07.17
2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43 2019.07.17
2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5 2019.07.17
2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80 2019.08.16
2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0 2019.08.16
2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48 2019.08.16
2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5 2019.08.16
2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2 2019.08.16
2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33 2019.08.16
2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9 2019.08.16
2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98 2019.10.24
2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76 2019.10.24
2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80 2019.10.24
19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9 2019.10.24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