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력 수입국가로 전락한 '원전 천국' 프랑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9126, 2012.02.14 22:37:54
  • 유럽을 강타한 매서운 한파로 사망자가 600명을 넘어섰다. 전력수급에 곤란을 겪은 몇몇 국가들은 주변국가에 도움을 청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기도 했다. 특히 주목을 끄는 국가는 프랑스와 독일이다. 독일로 전력을 수출해 왔던 프랑스는 최근에는 독일로부터 전력을 수입해야 했다. 독일은 지난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 8기의 가동을 중단했지만 자국 내 수요량보다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해 프랑스로 수출했다.

     

     

    AKW muehleberg CH.jpg

     

     

    지난 2월 7일 저녁 프랑스에서는 전력 소비량이 100.5GW를 기록하는 등 전력 수급이 위험 수위로 치달았다. 이 같은 전력 소비량은 80기 이상의 원전이 생산해내는 발전량에 상응한다. 같은 날 저녁 독일의 전력 소비량은 불과 51GW에 불과했다. 인구가 프랑스보다1500만 명이나 많은 나라이지만 전력 소비량은 절반 수준이었던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프랑스에서 전력 소비량이 급증한 이유로는 너무 많은 전기난방이 꼽힌다. 프랑스에서 전기난방이 확산된 것은 원자력에 올인한 기형적인 전력정책의 결과이다. 전력수급이 불안정해지면서 프랑스 전력거래소의 전력 가격도 kWh 당 34센트로 치솟았다.

     

    우리나라 사정도 프랑스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웃나라인 일본에서 최악의 원전사고가 발생했지만 정부는 원전 위주의 전력정책을 포기하지 않을 태세다. 낮은 전력가격 탓에 전기 냉온방시설이 급속도로 확산돼 겨울과 여름 전력 피크 시에는 정전사태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로 전락했다. 프랑스의 전력 수입은 원자력 중심의 전력공급 방식이 오히려 에너지안보를 위협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최도현 연구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23325/21c/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26 2010.11.24
3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02 2010.11.23
3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45 2010.11.24
3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82 2013.05.28
3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607 2010.11.23
3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607 2010.11.23
3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608 2010.11.24
3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669 2010.11.23
3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681 2010.11.23
3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708 2013.12.16
3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711 2010.11.24
3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721 2010.11.24
3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810 2010.11.23
3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819 2010.11.24
3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839 2010.11.23
3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862 2010.11.23
3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883 2010.11.24
3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955 2010.11.24
3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964 2010.11.25
3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966 2010.11.23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