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CA 카드뉴스 #66] 전국 시군구별 주거용 건물의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 비교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95, 2021.06.03 15:38:46
  • 우리나라에서 가정 부문은 전체 최종에너지(231.353 Mtoe)의 약 9.8%(22.619 Mtoe)를 소비(2019년 기준)합니다. 온실가스 배출량도 전체 총배출량(2017년 기준 7억975만 이산화탄소상당량 톤)의 약 9.9%(7천14만 tCO₂-eq; 가정용 건물의 직접배출량과 간접배출량의 합)를 차지합니다.
    기초지자체별로 전체 주거용 건물(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 아파트, 연립, 다세대 등 6종류)의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해 봤습니다. 기후의 영향(특히 난방에너지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따뜻한 지역이 대체로 에너지 사용량이 적음)도 있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건물이 많은 기초지자체는 주변보다 에너지 사용 수준이 낮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그리 넓다고 할 수 없지만, 기초지자체별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의 범위는 매우 넓습니다. 서울 관악구의 주거용 건물의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은 경남 합천의 주거용 건물의
     4.26배입니다. 달리 해석하면, (고효율 건물 신축 또는 기존건물 리모델링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면 주거용 건물이 에너지 사용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정영선·김태형. (2019). 국가 에너지통계에 따른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추계 및 특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구조계, 35(7), 187–195.
    GIR. (2020). 2020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GIR).
    KEEI. (2020). 2020 에너지통계연보. 에너지경제연구원(KEEI).

     

     

    ResidentialE-1.png

     

    ResidentialE-2.png

     

    ResidentialE-3.png

     

    ResidentialE-4.png

     

    ResidentialE-5.png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4/216139/c47/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6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67 2014.08.10
36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06 2014.10.17
36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89 2014.10.17
36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47 2014.10.19
36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7 2014.11.23
36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0 2014.12.14
36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1 2015.01.23
35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29 2015.01.23
3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5 2015.03.12
3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0 2015.03.12
3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51 2015.05.06
3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6 2015.05.06
3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95 2015.05.28
3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38 2015.05.28
3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76 2015.05.28
3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70 2015.06.04
3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7 2015.07.30
3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62 2015.07.30
3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0 2015.11.12
3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8 2015.11.1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