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반도 4도 상승…금세기 말 ‘폭우·한파 일상화’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4684, 2011.09.22 09:35:07
  • 금세기 말에는 폭우나 한파 같은 기상재해가 일상화될 것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왔습니다.

    한반도의 기후변화 동향을 정리한 결괍니다. 용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집중호우는 이제 더 이상 이변이 아닙니다.

    폭염이나 한파, 폭우 같은 재해도 해마다 찾아오는 일상적인 기후현상이 됩니다.

    한반도 기후변화 동향과 전망을 평가한 결과 금세기 말에는 지난 세기 말에 비해 평균 4도나 오를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인터뷰>홍유덕(환경과학원 기후변화과 과장) : "전 지구가 걸어왔던 대기순환을 벗어나서 새로운, 극한적인 기후를 유발할 수 있는 그런 식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온난화로 해수면이 1미터 오를 경우 국토의 1.2%, 백2십만 명이 사는 지역이 물에 잠길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현재 남해안에 걸쳐 있는 아열대 기후대는 2천백 년 서울까지 북상합니다.

    이에 따라 일부 남부 지방은 벼농사 2기작도 가능해지지만 벼 성숙일수가 부족해져 수확량은 오히려 13% 줄어듭니다.

    그나마 이런 피해는 온실가스 감축에 어느 정도 성공했을 경우의 시나리오입니다.

    감축에 실패하면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최악의 경우 세계 평균 온도는 6도 상승하고 한반도는 그보다 더 오르게 됩니다.

    <인터뷰>안병옥(기후변화행동연구소장) : "기후변화협상이 지금 타결되지 않고 있는데요, 만약에 이 상태가 그대로 가게 되면 거의 재앙에 가까운 시나리오가 벌어질 수도 있다."

    아직도 예측이 불확실한 기후변화, 그만큼 우리의 미래도 불안합니다.

    (2011.09.21, KBS뉴스, 용태영 기자)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about06/20591/8df/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1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6 2016.05.12
1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7 2016.05.12
1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7 2016.05.30
1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75 2016.04.15
1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16 2016.05.12
1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20 2016.05.12
1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52 2016.05.13
1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19 2010.11.19
1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75 2010.11.19
1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80 2010.11.21
1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21 2010.11.19
1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85 2010.11.19
1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445 2011.03.16
1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455 2010.11.19
1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498 2010.11.19
1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01 2010.11.21
1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43 2010.11.19
1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48 2010.11.21
1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52 2011.01.10
1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75 2010.11.19
태그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