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주에 거대한 거울 설치해 지구로 오는 햇빛 반사”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4442, 2011.06.29 11:34:53
  • 과학자들은 ‘수퍼 태풍’과 같은 기상이변의 배후로 지구온난화를 지목한다. 그래서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서는 지구촌이 한데 뭉쳐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상황은 생각만큼 녹록지 않다. 세계 각국의 이익이 첨예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온실가스 감축이 지지부진한 상태에서 지구온난화 피해를 다른 방법으로 해결하자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지난해 10월 부산에서 열린 유엔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 총회에서 지구온난화 방지기술로 인정받은 ‘지구공학(Geo-engineering)’이 그것이다.

     지구공학 기술 중 대표적인 것이 성층권에 아황산가스를 뿜어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지구 온도를 떨어뜨리는 것이다. 아직 아이디어 수준인 이 기술은 1991년 필리핀 피나투보화산 폭발 때 20㎞ 상공에서 황산 에어로졸(미세한 물방울)이 만들어졌고, 이로 인해 태양광선이 차단되면서 지구기온이 0.5도 내려간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

     또 거대한 거울을 우주 궤도상에 쏘아올려 햇빛을 반사시키는 ‘우주 거울’, 해상에 인공구름을 만들어 띄운 뒤 태양에너지를 차단하자는 ‘구름 방패’ 같은 아이디어도 나와 있다. 도시 건물의 지붕을 하얗게 칠해 햇빛 반사율을 높이자는 주장도 있다.
    이와 함께 바다에 철분 분말을 뿌려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시킴으로써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2) 흡수를 늘리거나, 아예 공장굴뚝에서 나오는 온실가스를 모아 폐유전(廢油田)이나 폐광 등 땅속에 저장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나오고 있지만 지구공학 기술에 회의적인 목소리도 들린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은선 연구원은 “독일연방환경청은 이달 초 보고서를 통해 ‘지구공학 기술이 대부분 실험실 규모에서만 적용됐기 때문에 과학적 검증이 부족한 상태’라고 지적했다”며 “지구공학 기술보다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11.06.29, 중앙일보, 강찬수 기자)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about06/18189/452/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35 2013.06.12
2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11 2013.06.21
2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16 2013.07.04
2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429 2013.07.08
2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12 2013.07.08
2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62 2013.07.08
2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38 2013.07.11
2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97 2013.07.25
2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47 2013.08.27
2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47 2013.08.27
2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30 2013.12.10
2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68 2013.12.10
2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64 2013.12.10
2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00 2013.12.10
2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473 2013.12.10
2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91 2013.12.10
2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80 2013.12.10
2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35 2013.12.10
2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77 2013.12.10
2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20 2013.12.10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