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종 에너지 시스템을 위한 전력의 수소화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6589, 2020.10.12 10:34:57
  • 스위스의 과학자들은 전력의 수소화가 전기와 난방의 연계, 부문 간 연계 에너지망에서 재생에너지 생산의 계절적 간헐성 극복에 특히 유망하다고 말했다. 이런 다종 에너지 시스템(Multi-Energy System, MES)의 최적 구성은 전력의 수소화(PtH₂)가 있어야 한다. 지중해성, 온대해양성, 온대대륙성/습윤대륙성, 냉대대륙성/아북극 기후 등 유럽 기후지역별로 평가한 바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는 계통비용의 증가를 가져온다. MES 모델에는 태양광, 풍력, 전력의 수소화, 리튬이온 배터리, 전력구동 공기열원 히트펌프, 천연가스보일러와 열수저장장치 등의 기술이 포함되었다. 분석에 따르면 지역 MES에서 전력의 수소화는 계통비용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배출량 감축의 마지막 단계 5~10% 배출량 감축기술로서 사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 영점화를 성취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 기술은 겨울 첨두부하를 충족하기 위해 주로 사용될 것이고 MES 연간 에너지 수요의 5% 정도를 공급하게 될 것이다.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8670/c01/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7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81 2010.11.24
27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87 2013.11.24
27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226 2011.01.10
27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238 2010.11.25
27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242 2010.11.25
27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245 2012.04.05
27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271 2010.11.23
27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290 2010.11.24
27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315 2010.11.23
26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404 2010.11.23
26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437 2010.11.23
26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454 2010.11.24
26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504 2010.11.23
26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532 2010.11.23
26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544 2010.11.24
26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562 2010.11.23
26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582 2010.11.24
26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21 2010.11.29
26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32 2013.07.27
25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50 2011.03.14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