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생 동물의 68%가 사라졌다. 그래도 희망은 있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6527, 2020.10.12 10:33:37
  • 1970년에서 2016년 사이 지구의 야생 동물 개체군 크기가 68% 격감했다고 세계자연기금(WWF)이 런던 동물학회와 협력하여 쓴 보고서에서 밝혔다. 물고기에서 조류, 파충류에서 포유류까지 모든 생명체의 숫자가 훨씬 줄어들었다는 뜻이다. 이는 단지 평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담수 생명체는 84% 사라졌다. 서식지 파괴와 삼림 벌채 때문이다. 한편 유럽전기산업협회는 2030년까지 80%의 전기가 비화석연료 기반일 것이며, 2020년 중반까지 전력의 3분의 2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생산될 것이라고 밝혔다. 2018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2030년 온실가스 감축량인 현재의 40% 목표를 넘어 46%를 저감할 것으로 평가했다. 이런 조기 목표달성은 2014년 목표 채택 이후에 유럽연합에서 광범한 에너지 관련 입법이 실현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조기 목표달성을 근거로 유럽연합은 2030년 55% 감축의 실현으로 나아가고 있다.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8666/c74/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10 2013.07.03
3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683 2013.05.29
3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82 2013.05.28
3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682 2013.05.12
3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070 2013.05.06
3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232 2013.04.23
3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192 2013.04.22
3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137 2013.03.26
3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705 2013.03.26
3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657 2013.03.12
3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168 2013.03.11
32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692 2013.02.25
3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89 2013.02.24
3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977 2013.02.24
3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764 2013.02.04
3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821 2013.02.04
3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923 2013.01.22
3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722 2013.01.21
3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84 2013.01.10
3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845 2013.01.09
태그